고달픈 맞벌이 가구..늘어나는 젊은 1인가구

김형욱 2018. 6. 21. 16: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인가구 554만명..맞벌이가구 역전
육아·취업난에 맞벌이가구는 1년새 9만명↓
맞벌이 가구 및 1인가구 수 2016~2017년 변동 추이. 1년 새 맞벌이가구는 숫자는 줄고 1인가구 수가 늘어나면서 수치가 역전됐다. (수치=국가통계포털)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육아·취업난 등 어려움 속 맞벌이를 하는 가구가 줄었다. 반대로 1인 가구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일-가정 양립이 현실화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2017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를 보면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1인가구 숫자가 맞벌이 가구 수를 역전했다. 맞벌이 가구는 지난해 10월 545만6000명으로 1년 전(554만5000명) 조사 때보다 8만9000명 줄었다. 배우자가 있는 가정 중 맞벌이 비중도 44.6%로 1년 전보다 0.9%p 줄었다. 반대로 1인 가구는 같은 기간 543만4000가구에서 561만3000가구로 17만9000명 늘었다. 어느덧 전체 가구(1935만4000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7%로 늘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열 중 셋은 1인 가구인 셈이다.

일-가정 양립이 어렵고 차라리 결혼을 피하는 현 사회상을 보여주는 민낯이다. 현실적으로 육아와 업무를 병행하기 어렵고 경력 단절 후 재취업도 쉽지 않다. 이 같은 취업난 속 결혼을 늦추거나 아예 피하는 젊은 층이 늘고 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6만4500건으로 6년 연속 감소했다. 1974년 이후 44년 만에 가장 적었다. 44년 사이 전체 인구가 3000만명에서 5000만명으로 늘어난 걸 고려하면 혼인율 감소는 드러난 수치 이상이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맞벌이 가구를 유지하기 힘든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가구주 기준 30대를 뺀 대부분 연령층에서 맞벌이 가구가 비중이 줄었다. 가족이 함께 일하는 비중이 큰 농림어업(81.2%), 자영업(도소매·숙박음식점업, 59.4%) 등을 빼면 체감 맞벌이 비중은 드러난 수치보다 더 낮다.

이는 고스란히 여성의 고용 불안정성으로 이어졌다. 어린아이를 키우는 맞벌이 부부의 아내는 남편보다 주 12시간 가까이 적게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취업시간은 평균 46.5시간인데 아내는 34.8시간이었다. 육아를 병행하는 아내 상당수가 일을 하더라도 임시·일용직에 종사한다는 것이다. 실제 남편은 상용직 임금근로자인데 부인은 임시·일용직인 자녀 있는 맞벌이 부부는 23만6000가구로 전체 맞벌이 부부의 10분의 1 이상(11.9%)이었다.

2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제22회 서울 베이비 키즈 페어를 찾은 부부가 아기띠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와 대조적으로 1인 가구의 평균적인 경제 여건은 개선되는 흐름이었다. 실제 개개인의 삶이 나아졌다기보단 1인 가구 중에서도 젊은 1인 가구가 늘고 농어촌 지역 고령 1인 가구 비중이 줄었기 때문이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의 취업률은 61.1%로 1년 전 60.5%에서 0.6%p 늘었다. 1인 가구 중 취업 상태인 사람은 343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3000명 늘었다.

1인 가구 취업자 평균 연령도 부쩍 젊어졌다. 늘어난 1인 가구 취업자 중 절반에 가까운 6만2000명(58만2000→64만4000명)이 15~29세였다. 전체 1인가구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18.8%)도 그만큼 늘었다. 65세 이상 1인 가구 취업자 수는 34만5000명으로 5000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전체에서의 비중(10.1%)은 오히려 줄었다.

1인 가구의 평균적인 모습도 이에 따라 빠르게 변했다. 주된 종사 업종이 농림어업에서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으로 옮겨갔다. 다섯 명 중 한 명은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였다. 또 열 중 한 명은 월 소득이 400만원 이상이었다. 그러나 1인 가구 고령농을 중심으로 100만원 미만 1인 가구도 전체의 11.0%를 차지하는 등 1인 가구도 양극화하는 모습도 보였다.

전문가는 정부가 일-가정 양립을 뒷받침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역설했다. 맞벌이 부부 비중이 높은 나라는 모두 보육이나 탁아, 출산을 아우르는 복지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일-가정 양립이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란 걸 반영한 결과”라며 “초년기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책 담당자가 관성적인 사고방식으로 조금씩 개선하는 수준에 머문다면 사회적 변화를 이끌 수 없다”고 강조했다.

경부고속도로 김천휴게소(서울방향)에 설치된 1인 전용 식사테이블인 ‘혼밥 존’. (사진=김천휴게소)

김형욱 (ne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