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확실]김승환 전북교육감 후보 "다양한 교육주체 목소리 경청"
━
3선 아닌 초선의 마음으로…
3선 교육감이 된 김승환(65) 전라북도교육감 당선인은 "3선 교육감은 전북 교육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로 큰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낀다"며 "초선의 마음으로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5파전으로 치러진 6·13 전북교육감 선거는 후보 간 네거티브 공방이 난무했다. 현직 교육감인 김승환 당선인이 주요 타깃이었다. 김 당선인은 "지난 8년 성과를 대부분 부정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들과 교사들을 '꼴찌'라고 낙인 찍는 말들이 쏟아져 가슴이 아팠다"고 했다.
━
"전북이 대한민국 교육 기준"
그는 "시·군을 돌면서 교육에 관심이 적을 것 같은 시골 어르신들이 저를 알아보고 격려해 주시고 '고생 많았다'며 위로해 주실 때 가슴이 찡했다"고 했다. 김 당선인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시국선언 참여 교사 징계, 누리과정 예산 편성 등을 놓고 교육부와 충돌했다. 그는 "임기 동안 16번의 고소·고발을 당하면서도 오로지 아이들을 위해 혼신을 다했다"고 회고했다.
김 당선인 재임 기간 전북교육청은 국민권익위원회가 실시한 청렴도 평가에서 5년 연속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또 유·초·중·고교 및 특수학교에서 전면 무상급식이 실시되고, 고교 입학금이 전액 면제됐다. 누리과정 예산의 정부 책임을 주장하고, 역사교과서 국정화 폐기에도 힘을 보탰다. 농어촌 작은 학교 통폐합도 막았다. 김 당선인은 "이런 성과에 힘입어 전북 교육이 대한민국 교육의 기준이 되고 있다"고 자평했다.
━
'청렴'은 나의 힘
김 당선인은 "청렴은 김승환의 핵심 공약"이라며 "어떤 부정과 비리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3선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는 것을 잘 안다"며 "교육감이 혼자 주도하는 교육행정이 아니라 지자체·학부모·교직원단체 등 다양한 교육 주체와 협의하고 토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 당선인은 전남 장흥에서 태어나 익산에서 자랐다. 초등학교 시절 주산과 암산을 잘해 장학금과 생활비를 지원받는 조건으로 광주 동성중과 광주상고로 진학했다. 상고 졸업 후 은행에 취직해 야간과정이 있는 건국대 행정학과에 들어갔다. 고려대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와 박사를 땄다.
전주=김준희 기자 kim.junh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