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부제 없고 맛 좋은 '국산 체리'..수입산 대체할까?
[앵커]
국내시장에서 유통되는 체리는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품질과 가격면에서 외국산에 비해 뒤처지지 않고 방부제 걱정도 없는 '국산 체리'가 인기라고 합니다.
보도에 홍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나뭇가지마다 빨간 체리가 주렁주렁 매달렸습니다.
10년 전 배 농사를 접고 체리농사를 시작한 지완근씨.
국내에도 체리 농장이 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연간 2억 원이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지완근/체리 재배 농민 : "시식을 해보시면 다시 또 찾으시고, 수확 체험하신 분들도 한번 하시면 그 이듬해 계속 오세요."]
검붉은 수입 체리와 달리 색깔이 더 옅고 고운 국산 체리.
당도와 가격 모두 외국산에 뒤처지지 않는 데다, 특히 방부제 걱정이 없어 안심하고 먹을 수 있습니다.
[서진희/체리 수확 체험객 : "직접 보고 따서 먹고 하니까 더 맛있는 것 같아요."]
체리 소비가 크게 늘면서 국내에서 이렇게 체리를 생산하는 농가도 10년 전보다 11배 이상 늘었습니다. 국내 체리 생산량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국내 체리 시장의 90%는 여전히 미국 등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남은영/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좋은 품종이 개발돼서 농가에서 이런 품종을 재배하게 된다면 생산량이 늘어남으로 인해서 소비자들은 더 저렴하게 맛있는 체리를 맛보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농촌진흥청은 외국산에 맞서 우리 기후에 적합한 토종 체리 품종을 개발해 앞으로 3년 안에 농가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홍진아기자 (gina@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현지 도착 뒤 이동경로는?..미리 가본 북미 정상의 동선
- 지방선거 사전투표율 20.14%..누구에게 유리?
- '평양발 싱가포르 직항' 전격 운항..중국이 제공한 듯
- [고현장] 화재 차량 속 70대 노인 구조.."포기란 없었다"
- 고의 추돌로 참사 막아 낸 경찰..의식 잃은 운전자 구조
- "'B형' 혈액형, 피부주름 더 잘 생긴다"..왜?
- "이번에는 제발"..기대보다 걱정 앞선 '군수들의 무덤'
- 방부제 없고 맛 좋은 '국산 체리'..수입산 대체할까?
- [6.13 후보자 분석] '음주·무면허, 교통사고' 전과 가장 많아
- [고봉순] "눈이 내려요~"..오랑우탄 우리 안, 뜻밖의 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