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 투표시간 보장 의무화…"휴무·휴업 아냐"
![[사전투표] 4층부터 2층까지, 긴 투표줄](http://img5.yna.co.kr/photo/yna/YH/2018/06/08/PYH2018060814050001300_P4.jpg)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6·13 지방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2동 주민센터에서 사전투표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 2018.6.8
scape@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 =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6·13 지방선거 사전투표일(8~9일)과 선거일(13일)에 모두 근무하는 근로자라도 고용주에게 별도의 투표시간을 청구할 수 있다고 8일 밝혔다.
선관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공무원이나 학생, 피고용인은 투표에 필요한 시간을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며 "투표시간은 휴무 또는 휴업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는 '다른 자에게 고용된 사람의 투표시간 보장'을 규정한 공직선거법 제6조 2항에 따른 것이다.
선관위는 앞서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조합중앙회 등 주요 경제단체에 근로자의 투표시간을 보장해줘야 한다는 공문을 보냈다.
아울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등 노동단체에는 근로자가 고용주에게 투표할 시간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법 규정을 안내했다.
또한, 중앙선관위는 지체장애 등으로 거동이 어려운 유권자는 지역 선관위에 장애인 콜택시나 휠체어 리프트가 장착된 전용차량을 지원받아 투표소까지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고 알렸다. 해당 차량에는 활동보조인도 함께 탑승해 유권자의 이동을 돕는다.
![[사전투표] 사전투표하는 장애인 유권자](http://img3.yna.co.kr/photo/yna/YH/2018/06/08/PYH2018060814670005500_P4.jpg)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일인 8일 오전 효자4동사전투표소인 전북도청에서 동암재활원 지체장애인들이 투표를 하려고 기다리고 있다. 2018.6.8
doo@yna.co.kr
한편, 이날부터 사전투표가 시작된 가운데 전국 각 투표소에는 투표안내 전문 요원이 2명씩 배치됐고, 일부 투표소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사도 배치됐다.
시각장애인용 점자형 투표보조용구, 몸이 불편한 유권자를 위한 손목 밴드형 기표 용구, 입으로 물고 투표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형 기표 용구도 준비된 상태다.
중앙선관위는 앞서 외국인과 다문화가정을 위해 영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로 된 투표안내문을 만들고, 지역별로 투표 체험 교실도 운영했다.
goriou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18년06월08일 18시27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