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왕릉급 벽돌무덤, 80년만에 다시 출현

입력 2018. 6. 7. 09:33 수정 2018. 6. 7. 18: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제강점기 발굴조사 이후 80년 가까이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린 웅진도읍기(475∼538) 백제시대 전축분(塼築墳·벽돌무덤)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공주시와 공주대박물관은 충남 공주시 교동 252-1번지 일원에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1939년 사이토 다다시(齊藤忠)와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조사한 결과 미완성 무덤이라고 규정한 백제 교촌리 전축분을 다시 찾았다고 7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주서 1939년 이후 재확인..길이 7m 석단 시설도 발견
[그래픽] 백제 왕릉급 벽돌무덤, 80년만에 다시 출현

공주서 1939년 이후 재확인…길이 7m 석단 시설도 발견

공주 교촌리 전축분. [공주대박물관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일제강점기 발굴조사 이후 80년 가까이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린 웅진도읍기(475∼538) 백제시대 전축분(塼築墳·벽돌무덤)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공주시와 공주대박물관은 충남 공주시 교동 252-1번지 일원에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1939년 사이토 다다시(齊藤忠)와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조사한 결과 미완성 무덤이라고 규정한 백제 교촌리 전축분을 다시 찾았다고 7일 밝혔다.

벽돌을 쌓아 만든 백제 전축분으로 교촌리 전축분에서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공주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이 있다.

교촌리 전축분은 무령왕릉처럼 터널형 구조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은 가로 3m·세로 6.1m·높이 2m이며, 묘실은 가로 1.9m·세로 3.4m·높이 1.6m다.

이현숙 공주대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연꽃무늬 벽돌을 사용한 무령왕릉과 달리 교촌리 전축분 벽돌에는 무늬가 없고, 벽돌을 가로로 쌓아 무덤을 조성했다"며 "이 무덤이 무령왕릉 축조를 위해 연습용으로 만든 미완성 무덤인지, 무령왕릉 이전에 만든 왕릉급 무덤인지는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일제강점기 조사 당시 사진. [공주대박물관 제공]

그러나 조사단은 교촌리 전축분을 미완성 무덤보다는 백제 왕릉급 무덤 쪽으로 보는 시각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이 무덤은 1530년 편찬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향교 서쪽에 무덤이 있는데, 백제왕릉이라고 전한다"는 대목과 일치하고, 미완성 무덤이라고 볼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 조사단 설명이다.

이 연구사는 "가루베 지온은 무덤 안에 점토가 있고 무덤으로 들어가는 길이 완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바탕으로 미완성 무덤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번 조사에서 전축분 주변에 본래 점토가 많고, 무덤길에 나무문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령왕릉에 있는 창문 시설인 가창(假窓)은 없으나, 등잔 따위를 놓는 감실(龕室·움푹 판 구멍)이 있어 조심스럽게 해석하면 무령왕릉보다 이른 시기 왕릉급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psh59@yna.co.kr

☞ '삼각김밥에 쪽잠' 송대관, 160억 빚 90% 갚았다
☞ '성형 의혹' 멜라니아, 한달만에 공개석상에 나타나
☞ 두산 "승부조작 제의받은 이영하, 단호하게 거절"
☞ '신고해주세요'…수의사가 받은 쪽지에 숨겨진 진실
☞ '야수' 캐딜락 vs 방탄 벤츠…북미정상이 탈 1호 차량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