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국경지대'에서 배운다.."지금부터 준비해야"

임경아 2018. 6. 6. 20: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DMZ가 평화지대로서 거대한 분단의 유적이 된다면 공원을 만들자, 국제기구를 유치하자, 생태조사를 하자는 의견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나옵니다.

DMZ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지, 통일을 경험한 독일을 보면서 배워보겠습니다.

임경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1990년 통일을 맞기 전, 독일에도 우리의 DMZ 같은 공간, '국경지대'가 존재했습니다.

동독이 주민탈출을 막으려 동-서독 국경에 철조망을 치고 지뢰를 묻으면서 생겼는데 길이 1천393km, 너비는 50~200미터로 DMZ보다 좁고 깁니다.

통일 직후, 개발과 보존의 갈림길에서 먼저 목소리를 낸 건 환경단체였습니다.

철의 장막 덕에 형성된 생태를 지키자 외쳤고 이에 독일 정부는 '자연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활용'으로 방향을 정합니다.

자연보존을 조건으로 정부 땅을 생태전문 기관에 이양하거나 농부에게 맡겨 생태 농업을 짓게 했습니다.

[베른하르트 젤리거 대표/독일 한스자이델 재단] "정부가 자연을 보존하는데 자금을 동원하여 농부와 정부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었고 결과적으로 자연을 온전하게 지킬 수 있었습니다."

마구잡이 개발을 막기 위해 사유지는 시민모금으로 사들였습니다.

그렇게 국경지대를 따라 형성된 녹색 띠가 '그뤼네스 반트'입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시민모금 참여] "(자연의 소중함을) 잊지 맙시다."

국경지대엔 이제 150개의 크고 작은 생태보호지역이 생겼고 독일인들은 이 지역을 '역사의 기억이 있는 자연', 이렇게 부릅니다.

이런 독일도 후회하는 게 있습니다.

환경단체가 앞장서 생태는 지켜냈지만 정작 정부가 냉전시대 유적인 국경지대를 어떻게 활용할지 준비하지 못한 탓에 그 가치를 온전히 지켜내지 못했다는 겁니다.

군사시설 일부를 박물관이나 호텔로 개량해 관광자원화했지만 냉전의 흔적을 지우는데만 급급했습니다.

[심숙경 부위원장/유네스코 MAB 한국위원회] "빨리 저 철조망 거둬라, 감시탑 무너뜨려라, 보기 싫다, 잊고 싶다…그런데 나중에 지나고 보니까 이게 우리 관광이나 역사 등등에 정말 소중한 자원이구나."

또 토지소유권을 정리하는데 소송과 법 개정을 반복하다 20년이 걸릴 정도로 법률 정비도 미비했습니다.

[베른하르트 젤리거 대표/독일 한스자이델 재단] "(통일 직후에는) 인프라 구축, 새로운 정치 제도 마련과 같이 여러 주제에 압도될 겁니다. 그래서 DMZ 문제에 어떻게 다가설지 미리 생각해놔야 합니다."

결국, DMZ의 미래를 준비할 시점은 '바로 지금부터'라는 게 독일이 한반도에 던진 교훈입니다.

MBC뉴스 임경아입니다.

임경아 기자 (iamhere@mbc.co.kr)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