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반도체담합 조사, D램 값 발목 잡을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반도체 빅3에 대해 담합조사에 나섬에 따라 중국정부의 이런 조치가 D램 값 상승의 발목을 잡을 지 주목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기획재정부와 공정거래위원회를 합쳐놓은 것과 비슷한 매머드 부처인 중국의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이른바 '발개위'는 연초 삼성과 미국의 마이크론을 방문해 반도체 가격을 올리지 말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D램 반도체 가격은 4Gb의 경우 지난 2016년 6월의 1달러 31센트에서 올해 4월에는 3달러 94센트까지 3배 이상 올랐다.
스마트폰의 사양이 높아지면서 모바일용 D램 수요가 폭증한데다 각국이 데이터센터를 만들면서 메모리용 D램 수요가 늘어난게 주요 원인이다.
그런데 이런 D램 가격 상승이 3분기는 물론 4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스마트폰이 점점 고성능화 되면서 역시 고성능의 모마일용 D램과 낸드플래시 메모리 수요가 많아지는데다 중국이 데이터센터의 증설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웨이와 샤오미, 비보,오포 등 대표적인 중국 IT기업들은 반도체 수요가 많아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서 사들인 반도체만 40조원을 훌쩍 넘겼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은 영업이익율이 50%를 넘긴 가운데 이 제품을 구매해 완제품을 만드는 중국 셋탑업체들은 영업이익율이 10%를 넘지 않는게 현실이다.
중국정부의 이번 반도체 반독점 조사는 이런 상황속에서 일정부분 예견됐던 일이기도 하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기획재정부와 공정거래위원회를 합쳐놓은 것과 비슷한 매머드 부처인 중국의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이른바 '발개위'는 연초 삼성과 미국의 마이크론을 방문해 반도체 가격을 올리지 말것을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요청 이후에도 D램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반독점조사라는 '칼'을 빼어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대해 업계에서는 최근 반도체 공정이 점점 고도화 되면서 공정이 미세화돼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둔화되는 것이지 담합과 같은 불법이 있을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다만 중국정부의 이런 강경한 조치가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D램 가격을 낮추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다른 업계관계자는 "반도체는 전형적으로 수급이 지배하는 시장"이라면서 "고성능 메모리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여전한 가운데 공급은 타이트하기 때문에 가격인하 압박은 되더라도 실제 인하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정부가 내수용 반도체의 개발과 양산을 서두르면서도 동시에 공급가격 인하압박 카드를 쓰고 있지만 두가지 모두 현실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이용문 기자] mun8510@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