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사물인터넷 투자, 미국기업의 100분의 1"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0년간 한국 기업의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투자가 미국기업의 100분의 1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가별 투자 누적액은 미국(1078조4710억원), 중국(113조3400억원), 독일(17조4980억원), 한국(11조7260억원), 일본(4조2220억원) 등 순이었다.
한국의 IoT 투자는 2010년 처음 1조원을 넘어선 후 2014년까지 2조원대를 기록했지만 이후 부진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한국 기업의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투자가 미국기업의 100분의 1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IoT 투자동향과 주요국 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전 세계에서 이뤄진 IoT 투자는 총 3631건, 1506조원이다. 국가별 투자 누적액은 미국(1078조4710억원), 중국(113조3400억원), 독일(17조4980억원), 한국(11조7260억원), 일본(4조2220억원) 등 순이었다.
특히 미국은 2위인 중국의 약 10배, 전 세계 IoT 투자액의 70%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의 IoT 투자는 2009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작년에만 46건, 13조752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누적 투자액은 11조7260억원으로 중국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한국의 IoT 투자는 2010년 처음 1조원을 넘어선 후 2014년까지 2조원대를 기록했지만 이후 부진하다.
주요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은 신규 수익모델 확보와 기존 사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지만, 한국은 이 부분에서도 부진했다. 지난해 기준 122건의 전 세계 IoT M&A 거래 중 한국은 8건에 그쳤다. 미국(40건)과 중국(12건)에 크게 못 미쳤다. 지난 10년간 전세계 M&A 건수는 4배 이상 급증했고, 5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M&A도 늘고 있다.
장현숙 연구위원은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선점경쟁이 본격화하면서 점차 시장구조나 사업모델도 변화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은 IoT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韓 전투기 도입 검토하던 이집트, 中 J-10C 수입하나
- 국제유가 하락에 사우디 ‘자금줄’ 마른다
- “남진 콘서트 뒤풀이 20명 예약”… 신종 사기 전화에 분통 터진 창원 자영업자
- ‘5조 몸값’ 기대하는 테일러메이드, 내달 매각 본격화… 티저레터 배포 예정
- “美, 2050년까지 원전 4배 확대”… 韓, 수주 길 열리나
- 8000원에서 23만원으로… 파크시스템스, 국장서 보기 드문 ‘장기 우상향’ 비결은
- 전력기기 날개 단 효성… 화학 부문도 재무 개선 속도
- 원가에 치이고 편의점에 밀리고… 김밥 프랜차이즈의 눈물
- [명의를 찾아서] “조현병은 불치병 아냐…꾸준한 치료로 일상 생활 가능”
- “K-방산 전성시대, 민간에 R&D 개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