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VIP
통합검색

비핵화 사전협상 나선 성 김 누구? "한국어 능통·비핵화 협상 경험"

머니투데이
  • 김영선 기자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톡 나에게 전송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텔레그램
  • 문자
  • 글자크기조절

서울 출생의 김 전 대사, 美 정부서 韓 담당 꾸준히 역임…2005년 6자회담에서 최선희와 인연

(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2013년 한 행사에서 강연에 나선 성 김 전 주한 미국 대사. 2013.2.20/뉴스1
(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2013년 한 행사에서 강연에 나선 성 김 전 주한 미국 대사. 2013.2.20/뉴스1
북미 정상회담 의제 협상에 성 김 전 주한미국대사가 최전방에 나선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계인 데다 한국어에 능통하다는 점, 이미 북한과 비핵화 협정을 진행해본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적임자란 평가다.

2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 관리들이 북미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어제(26일) 북한을 방문했다"며 "전 주한 미국 대사인 성 김 필리핀 주재 미 대사가 특사로 파견돼 (북미 회담) 준비를 이끌 것"이라고 보도했다. 김 전 대사는 필리핀 대사직을 유지하며 북미 회담에 투입된 것이다.


서울 출신의 김 전 대사는 중학교 1학년 때까지 서울에 살았다. 한국어에 능통하기 때문에 북한 측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주한 미 대사관에서 정무참사관을 지낸 그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미 국무부 한국과장에 이어 2011년 주한미국대사로 임명돼 3년간 활동했다. 한미 수교 이래 첫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다.

이후에도 김 전 대사는 미 국무부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 대북정책특별대표 등의 직함을 얻으며 이른바 '한국통'으로 활동했다.


김 전 대사가 북한 비핵화 협상을 이끌게 된 건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를 지낸 게 결정적 사유로 보인다. 이때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인연이 생겼다. 김 전 대사와 최 부상은 2005년 6자회담에서 각국 대표단으로 참여한 이력이 있다. WP는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을 '재고려'하고 있다고 말한 최 부상을 만나기 위해 방북했다"고 했다.

한편 일본 교도통신은 김 전 대사가 이끄는 북미 회담 실무팀이 북한의 핵탄두 국외 반출을 주요 의제로 협상 중이라고 보도했다. 북한 핵무기의 일부 선(先)반출은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제안한 방식으로 알려졌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단독 교보생명, 라이프플래닛 흡수합병 검토…IFRS17 후폭풍
네이버 메인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다음 언론사 홈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베스트클릭

이슈패키지

오늘의 꿀팁

  • 뉴스 속 오늘
  • 더영상
  • 날씨는?
  • 헬스투데이

많이 본 뉴스

마르크 샤갈 특별전
미피의 마법우체통

포토 /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