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년 전 이순신 장군 울렸던 '백의종군로' 걸어보니

최경호 2018. 5. 23. 00: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생태 탐방, 역사체험 '두 토끼'
한양 떠나 124일 '눈물의 행로' 중
구례~순천 119km 도보코스로 조성
지리산 호수공원, 서시천 등 장관

“신에게는 아직도 12척의 배가 있습니다. 죽을 힘을 다해 싸우면 능히 대적할 수 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1545~98)이 임진왜란 당시인 1597년 8월 15일 전남 보성 열선루(列仙樓)에서 선조에게 올린 장계 내용이다. 그는 사흘 후인 8월 18일 수군을 재정비해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 칠천량 해전의 참패로 괴멸 위기이던 조선 수군을 재건해 정유재란의 전세를 바꾼 순간이었다.

학자들은 당시 충무공이 명량해전에 출전한 것 자체가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군을 격파한 것만큼 기적적인 일로 여긴다. 명량대첩을 치르기 불과 12일 전만 해도 ‘백의종군(白衣從軍)’의 신분이었기 때문이다. 백의종군은 관리가 벌을 받아 관직을 삭탈 당한 채 전쟁에 나가는 것을 말한다. 올해는 1545년 4월 충무공이 태어난 지 473주년이자 백의종군로를 걸은 지 421년이 되는 해다.

전남 구례군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을 찾은 어린이들이 충무공 조형물을 가리키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충무공의 백의종군은 선조에 의해 의금부에 투옥됐다 석방된 1597년 4월 1일부터 124일간 이어진다. 한양을 떠나 경기~충청~전북~전남~경남 진주를 거쳐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 8월 3일까지 험난한 행군을 한다. 현재도 전국 곳곳에는 충무공이 백의종군 당시 걸었던 흔적들이 다수 남아 있다. 전남과 전북·경남 등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는 역사체험 장소로 만들기 위한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이중 도보 코스로 조성된 전남 지역 행로는 백의종군길의 백미다. 전남 구례를 출발해 섬진강을 거쳐 순천까지 이어지는 119㎞의 행로에는 전국에서 탐방객이 찾는다. 백의종군로 도보 코스는 지리산자락인 구례에서 시작된다. ‘봄의 전령사’로 불리는 산수유 시목지가 있는 계척마을을 출발해 산동면사무소까지가 첫 코스다. 서시천을 따라 형성된 옛길을 문화생태 탐방로로 만들어 놓은 구간이다.

구례 산동면사무소에서 구례읍내까지 가는 길은 마치 시간이 멈춰 선 것 같은 풍광이 펼쳐진다. 옛 시골길을 걸으며 지리산이 품은 경관과 정자, 작은 마을들이 어우러진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석벽에 세운 정자인 운흥정과 ‘지리산 호수공원’, ‘서시천 뚝방길’도 탐방객을 맞는다. 구례읍에 들어서면 백의종군의 몸으로 구례를 찾은 이순신을 가장 먼저 맞아준 손인필 비각과 ‘이순신 백의(白衣)바위’ 등을 볼 수 있다. 손인필은 충무공과 함께 전쟁터를 누비다 노량해전 때 전사한 인물이다.

손인필 비각 안에는 손인필의 후손들이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 안치돼 있다. ‘백의바위’는 이순신이 손인필의 집에 거처를 정한 뒤 찾은 곳이다. 그가 훗날 『난중일기』에 ‘밤에 앉아 있으니 비통함을 어찌 말로 다 하랴’라는 글을 남긴 곳으로도 유명하다.

서시천 뚝방길을 걷는 탐방객들. [프리랜서 장정필]
손인필 비각과 백의바위가 있는 곳은 현재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이 조성돼 있다. 백의종군을 마친 충무공이 출정하는 조형물과 ‘조선수군 재건로’에 대한 안내 표지석 등을 둘러볼 수 있다. 조선수군 재건로는 구례을 출발해 곡성~순천~보성~장흥~강진~해남~진도까지 450㎞에 이르는 길이다.

구례읍을 나서면 벚꽃길로 유명한 섬진강변을 따라 이순신의 행로가 이어져 있다. 순천에 일부 조성이 완료된 백의종군길로 향하는 구간이다. 순천 황전면에 있는 ‘황전늘품길’은 폐선 철도부지를 흙길로 만들어 걷기에 좋다. 황전면사무소에서 백야교와 매실밭 등을 거쳐 8㎞ 정도를 걷다 보면 ‘송치재’가 나온다. 가파른 산길을 오르던 충무공의 참담한 심정을 반영해 ‘장군의 눈물길’이란 명칭이 붙은 구간이다.

남도의 백의종군로를 기획한 박창규 전남도립대 교수는 “구례를 중심으로 도보 역사코스를 조성함으로써 차량 탐방 위주인 전국 주요 거점의 백의종군로와 차별화를 꾀했다”고 말했다.

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