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대가 치를 것"..'플라스틱 차이나' 감독의 메시지
한국 찾은 왕주량 감독 "쓰레기를 정말 다른 나라에 버리고 싶나"
[앵커]
얼마 전 있었던 쓰레기 수거 대란은 중국이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면서 시작됐죠. 중국 정부가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영화 한 편 때문이었습니다. 그 영화를 만든 감독이 우리나라를 찾았습니다.
윤정식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중국 산둥성의 한 시골 마을입니다.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재활용 쓰레기들이 모이는 곳입니다.
이 곳에 살고 있는 11살 이제는 쓰레기를 분류하다 운이 좋으면 장난감도 챙깁니다.
'플라스틱 차이나'라는 영화가 다룬 중국의 모습입니다.
[왕주량/'플라스틱 차이나' 감독 : 사람들은 쓰레기가 어디로 가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모르죠. 이 영화의 불편한 영상들을 보며 개인의 소비 행태를 바꿀 것을 기대했어요.]
전 세계 쓰레기의 56% 수입하는 중국의 불편한 현실을 다룬 이 영화는 중국에서는 상영이 금지됐습니다.
하지만 영화가 인터넷 등을 통해 확산되자 중국 정부는 쓰레기 수입을 금지했습니다.
왕 감독은 쓰레기가 무역의 대상이 된 게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왕주량/'플라스틱 차이나' 감독 : 제가 한국인들에게 물어봅시다. 쓰레기를 정말 다른 나라로 보내고 싶나요? 이건 환경 문제를 떠나 도의적·법적 문제입니다. 중국도 전세계 쓰레기를 수입해 돈을 벌고 경제 발전을 이뤘겠지만
엄청난 환경적 대가를 치를 겁니다.]
수출이 아니라 자국 내 처리를 원칙으로 하면 발생부터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특히 전세계가 소비 행태를 바꿔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왕주량/'플라스틱 차이나' 감독 : 가장 중요한 건 미래 세대를 생각하는 겁니다. 미래 세대가 저 인간 형태의 쓰레기 조형물처럼 쓰레기로 둘러싸인 삶을 살면 안 되지 않겠습니까?]
왕 감독은 다음주 서울환경영화제의 토론자로 참석해 한국 관객들과의 대화에도 나섭니다.
(화면제공 : 서울환경영화제)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컵보증금 부활·무색 페트병..핵심 빠진 '재활용품 대책' '재활용품 대란은 남의 일'..대학가 쓰레기 불법투기 몸살 '폐지대란' 피할까..제지업계, 폐지 2만7천t 긴급 매입키로 재활용 수거업체들 "지자체, 재활용 쓰레기 처리 책임 방기" "전처럼 재활용품 버릴 수 있다"더니..쓰레기 대란 여전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