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20만 넘은 몰카 처벌 강화 관련 청원 여전히 미답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만 명이 넘는 동의를 얻으며 지난달 21일 마감된 몰카범죄 처벌 강화 청와대 국민청원이 여전히 제자리다.
지난달 22일 마감 예정이었던, '몰래카메라 판매 금지와 몰래카메라 범죄 처벌 강화' 국민청원이 하루 전인 21일 20만6605명의 동의를 받으며 마감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만 명이 넘는 동의를 얻으며 지난달 21일 마감된 몰카범죄 처벌 강화 청와대 국민청원이 여전히 제자리다.
지난달 22일 마감 예정이었던, '몰래카메라 판매 금지와 몰래카메라 범죄 처벌 강화' 국민청원이 하루 전인 21일 20만6605명의 동의를 받으며 마감됐다.
20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청와대와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답변을 받을 요건을 갖추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몰카 범죄 관련 청원은 '대기 중인 답변'으로 분류된 상황인 것.
이에 대해 10일, 한 청원인은 '초소형 카메라, 위장 카메라 거래 금지 및 몰카 범죄 처벌 강화' 제목으로 다시 몰카 범죄 관련 청원을 게재했다.
이 청원인은 "(몰카 관련) 청원에 동의한 인원이 20만 명에 달한 지 한 달 이상이 흐른 가운데 아직 답변을 주시지 않았다"며 "일부가 해당 청원이 부당한 방법을 통한 인원수 조작이라고 주장하는 바 있어 다시 청원 글을 작성한다"고 같은 청원을 다시 올리는 이유를 밝혔다.
청원인은 최근 불거진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과 여학생 기숙사 몰카 사건을 언급하며 "남녀를 불문하고 엄연한 사이버 성범죄다. 대통령님께서 작년 8월 사이버 성범죄 처벌과 몰카 유통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라는 말씀이 있었지만, 현재 전혀 나아진 점은 없어 보인다"라며 "몰카 촬영 및 유통 외에도 위장 카메라 거래, 생산 또한 금지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답변도 중요하지만 최근 몰카 관련 범죄가 계속되고 있어 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가 시급한 상황이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사진 출처 =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 게티이미지뱅크]
▶동영상 뉴스 모아보기
▶오늘 나의 운세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승호 사장 "상처받았을 이영자에게 사과한다"
- [단독] 우리은행 전산장애로 군인 월급지급 지연
- "산 속에 카메라를.." 여학생 기숙사 몰카 논란
- '단식 8일' 김성태, 호흡 곤란으로 병원행
- 한국당 구의원이 유포한 가짜뉴스는 '일베 출처'
- [단독]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 단체 대화방서 김상욱·윤상현 동시 비판
- 이재명 지지율 이긴 '38%'...조기대선 흐름 바꿀 변수 되나 [Y녹취록]
- 윤, '불소추 특권' 사라져...동시다발 수사 전망
- "우리는 폐족, 10년 뒤 기약하자"...비관론 나오는 국민의힘 [Y녹취록]
- 윤, 이르면 이번 주 초 퇴거...대통령실도 정리 수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