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알파고의 아버지' 허사비스, 길 찾기 인공지능 개발

2018. 5. 10. 0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번 가본 길은 잊지 않고 잘 찾는 사람들이 있다.

최근 이런 길 찾기 능력을 보유한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구글 딥마인드의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와 이 회사 소속 연구원들은 길 찾기 AI를 개발해 10일(한국 시간) 과학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전에 개발한 바둑 AI '알파고'처럼 딥러닝과 강화학습을 이용해 길 찾기 AI를 개발했다.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 뇌 속 '길 찾기 세포' 구조와 닮아"..'네이처'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한 번 가본 길은 잊지 않고 잘 찾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동물적인 방향 감각으로 목적지를 찾아내기도 한다. 최근 이런 길 찾기 능력을 보유한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구글 딥마인드의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와 이 회사 소속 연구원들은 길 찾기 AI를 개발해 10일(한국 시간) 과학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전에 개발한 바둑 AI '알파고'처럼 딥러닝과 강화학습을 이용해 길 찾기 AI를 개발했다. 이는 포유류가 공간을 인식할 때 활성화되는 '격자 세포'(grid cell)와 형태가 유사했다. 격자 세포는 동물의 길 찾기를 돕는다고 해, '뇌 속의 GPS'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이브리트 모세르, 에드바르 모세르 노르웨이과학기술대 교수 부부는 이를 처음 발견해, 지난 2014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연구진은 격자 세포의 특징을 가진 신경망을 강화학습에 활용해, 기존보다 뛰어난 길 찾기 AI를 만들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AI는 학습을 거듭하며 길 찾기 실력이 점점 향상됐다. 새롭게 바뀐 지형에도 적응해 지름길을 찾아냈고, 미로 찾기 게임에선 사람보다 더 뛰어난 능력을 보이기도 했다. 내비게이션계의 '알파고'가 등장한 셈이다.

구글 딥마인드의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 [DeepMind 제공]

연구진은 개발한 AI를 뇌 기능 연구에 활용하기도 했다. 이 AI를 '격자 세포 신경망'을 제외한 버전과 비교한 결과, 격자 세포는 길 찾기 과정에서 직선거리와 방위를 추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과학 분야의 중요한 질문을 AI 기술을 이용해 접근한 사례"라며 "진정한 학문 간 융합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AI 기술은 뇌를 모방하는 데서 출발했지만, 앞으로는 AI를 이용한 실험이 뇌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공지능(AI)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sun@yna.co.kr

☞ '전참시' 후폭풍…MBC 사장 사과에 이영자 녹화불참
☞ "'홍대 누드모델 몰카' 때 20명 있었다"…전원 조사
☞ '여배우 명예훼손' 개그맨 출신 기자 이재포 법정구속
☞ 가수 출신 이지연 '美 애틀랜타 100대 셰프' 선정
☞ 안산서도 '집단폭행'…10대들 편의점 종업원 마구 때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