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梨大 상권의 중심' 신촌민자역사, 결국 법정관리 신청

황정환 2018. 5. 8. 18: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화여대 상권의 침체와 오랜 법정 다툼으로 경영난을 겪던 신촌역사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촌민자역사를 소유하고 있는 신촌역사주식회사의 채권자 한 곳이 지난달 20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 신청서를 제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장 후 10년간 '유령건물' 신세
밀리오레-역사간 법정싸움 탓
상권 몰락도 경영난 부채질
내달 재개장 위한 리모델링
법정관리 인가될 지 관심

[ 황정환 기자 ] 마켓인사이트 5월8일 오후 4시15분

이화여대 상권의 침체와 오랜 법정 다툼으로 경영난을 겪던 신촌역사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촌민자역사를 소유하고 있는 신촌역사주식회사의 채권자 한 곳이 지난달 20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 신청서를 제출했다. 서울회생법원은 제12부(부장판사 김상규)에 이 건을 배당하고,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심사하고 있다.

지하 2층~지상 6층에 연면적 3만㎡인 신촌민자역사는 2006년 세워졌다. 총 투자금은 700억원으로 코레일을 중심으로 대우건설 한일건설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건물 1~4층엔 동대문 패션의 대중화를 이끈 종합쇼핑몰 밀리오레, 5~6층에는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가 입점해 인근 상권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개장 후 10년이 지나도록 신촌민자역사는 ‘유령건물’처럼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신촌역사주식회사는 보증금과 임대료 체납 문제로 핵심 입점 업체인 밀리오레의 운영사 성창F&D와 10년 가까이 법정 다툼을 했다.

1990년대 패션·미용의 중심지였던 이대 상권의 몰락도 경영난을 가중시켰다. 이대 상권은 스타벅스 등 커피전문점과 미스터피자, 미샤 등 유명 프랜차이즈점들이 1호점을 낼 정도로 핵심 상권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홍대와 이태원 등 다른 상권들이 뜨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이 때문에 신촌민자역사는 개장 후 입점률이 30%에 불과했다. 그마저도 2012년 이후엔 1~4층이 아예 폐쇄된 채 방치됐다. 입점 업체 중 메가박스만 제 기능을 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10년 넘게 이어졌다. 신촌역사주식회사는 2015년 40억원, 2016년 37억원 등 계속되는 영업손실로 세금체납액만 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에선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밀리오레가 나간 1~4층에 시내면세점과 K뷰티(화장품·미용) 중심 쇼핑몰 유치에 성공했다. 다음달 재개장을 위한 리모델링에 들어간다.

회생법원이 3주 가까이 법정관리를 받아들일지 심사숙고 중인 것도 이 같은 자체 회생 가능성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기업회생 전문 회계사는 “새 사업의 수익성 여부를 아직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채권자가 낸 법정관리 신청을 회생법원이 반려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면서도 “코레일 등 신촌역사주식회사 주주들이 얼마나 뚜렷한 경영 개선안을 내놓을지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글방]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