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추경 동시" vs "특검 먼저"..국회정상화 불발(종합2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야가 7일 국회 정상화 협상을 재개했지만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이 결국 결렬됐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자유한국당 김성태·바른미래당 김동철 원내대표와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등록대표인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에서 비공개 협상을 가졌지만 국회 정상화 합의에 실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최은지 기자,이형진 기자 = 여야가 7일 국회 정상화 협상을 재개했지만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이 결국 결렬됐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자유한국당 김성태·바른미래당 김동철 원내대표와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등록대표인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에서 비공개 협상을 가졌지만 국회 정상화 합의에 실패했다.
이날 회동에서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야권의 요구인 드루킹 특검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동시에 여야의 핵심쟁점들을 패키지로 묶어서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우 원내대표는 드루킹 특검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Δ추가경정예산안과 함께 특검법을 처리하고 Δ특검법 명칭을 '드루킹의 인터넷상 불법댓글 조작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으로 지정하며 Δ특검 추천은 야당이 교섭단체간 합의로 하고 여당이 비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물 관리 일원화법 등과 7대 민생법안 등을 함께 처리하자고 했다.
하지만 야권에선 선(先) 특검법 후(後) 추경 처리를 주장하면서 합의가 결국 무산됐다. 또한 특검 추천 문제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장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한 여야는 회동 직후 서로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며 치열한 책임 공방전을 예고했다.
우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추경이 급한데 (야당은) 추경에는 미온적으로 하면서 특검만 하자고 하는 것은 합의 원칙에 맞지 않는다"며 "한국당 등이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우 원내대표는 또 이날 제안한 안에 대해 '마지노선'이라며 "내가 전권을 갖고 왔고 비공개로 합의가 될 때까지 우리끼리 논의하자고 했는데 (야당이) 결렬을 선언하고 나갔기에 패키지 (협상도) 안됐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야권의 입장 선회가 없을 경우 합의를 못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역시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협상할 자세가 있는지, 합의할 의지가 있는지 대단히 의문스러운 회동이었다"면서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반면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역시 민주당의 제안에 불만을 전했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은 특검을 수용하면서 여러 어려운 조건들을 너무 많이 붙였다"고 꼬집었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김경수 의원이고, 청와대고, 민주당이고 당당하고 떳떳하다는데 그 당당하고 떳떳한 특검을 안 받으려고 지금까지 며칠을 끌었느냐"면서 "사실상 증거 인멸할 시간을 주고, 검찰과 경찰은 수사를 하는지 비호를 하는지 알 수 없게 만들었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이제 와서 '특검을 수용할 테니 이거 이거 들어달라'고 보따리를 풀어놨는데 당당하고 떳떳하게 특검을 하나 들어주면서 무슨 요구사항이 그렇게 많느냐"고 비판했다.
여야가 이날 국회 정상화 합의에 실패하면서 여야의 대치 상황은 계속 이어지게 됐다.
다만 여야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국회 정상화 시한의 마지노선으로 꼽은 8일 오후 2시까지는 계속 물밑 조율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goodday@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