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첫 협력은 산림..황폐한 북한에 나무 심어준다
<앵커>
정상회담 이후 남과 북의 첫 협력사업으로 우리 정부가 북한의 나무를 심어주기로 결정했습니다. 장마철을 앞두고 북한이 지금 필요한 게 숲을 가꾸는 일이고, 또 인도적 지원이라서 대북제재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입니다.
계속해서 정유미 기자입니다.
<기자>
남북정상회담을 주도한 청와대와 정부 인사들로 구성된 판문점 선언 이행추진위원회. 오늘(3일) 첫 회의 결과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산림협력 연구 TF 설치를 발표했습니다.
정상회담 이후 남북의 첫 협력 사업 분야를 산림으로 정한 건데, 쉽게 말해 우리가 북한에 나무를 심어주는 겁니다.
[김의겸/청와대 대변인 : (산림 협력 분야는) 북쪽이 가장 필요로 하고 우리로서도 경험이 많이 쌓인 분야로 우선 활동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황폐화한 북한의 산에 조속히 나무를 심어 올해 장마철 큰 피해부터 막아 보자는 취지입니다.
인도적 지원에 해당돼 경제적 지원을 금지한 유엔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유엔 대북 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사업은 준비되는 대로 시작하려 한다며 대북 조림 사업이 그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추진위는 또 이달 중순에 고위급 회담을 열자고 북측에 제안하기로 했습니다. 군사, 적십자 회담도 잇따라 열어 합의사항을 하나씩 실행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헌법기관장을 만난 자리에서 합의 이행을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과거와 같이 막무가내 주장을 하지 않고 큰 위험 부담에도 자기 것을 내려놓고 있다며 이런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승원·서진호, 영상편집 : 최진화)
정유미 기자yum4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남북정상회담 뮤직비디오 : 스콜피언스 '변화의 바람'
- 남북회담을 손꼽아 기다렸다..10살 소년이 바라는 것은?
- 靑 "남북 정상, 이르면 이번 주에 핫라인 통화할 수 있다"
- 문 대통령 "안보상황 좋아져 남북회담까지"..헌법기관장 오찬
- [단독①] '발암 방사능' 내뿜는 침대..충격적인 측정 결과
- [단독②] 음이온 나오게 하려다..방사능 나오는 침대
- [단독③] 대진침대 "해당 모델 생산 중단"..다른 침대는 괜찮나
- "한진 꺼 맞냐" 불매 조짐에..조 씨 자매 소유 매장 '철수'
- "광주 집단폭행, 경찰 도착한 뒤에도.." 들끓는 여론
- 쓰러진 부모 깨어나니 사라진 전 재산..무서운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