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대북 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막을 수 없다?
<앵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이번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어제(30일)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몇몇 근거를 제시했는데, 그중 판문점 선언에 담긴 대북 전단 살포 중단을 언급한 대목이 있습니다. 홍 대표 발언부터 듣고 사실인지 짚어보겠습니다.
[홍준표/자유한국당 대표 : 대북 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라는 법원의 판결까지 나온 대한민국의 헌법적 가치에 해당되는 사안인데 무슨 근거로 이를 막겠다는 것인지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박세용 기자. 홍준표 대표 말을 들으면, 대북 전단 살포에 관한 재판이 있었던 모양이네요.
<기자>
탈북자 출신의 한 선교사가 2009년부터 북한 쪽으로 전단을 날렸는데, 군과 경찰이 막아서 못 날린 날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교사가 국가를 상대로 정신적 고통을 당했다, 위자료 달라고 소송 낸 적이 있습니다.
<앵커>
그 재판에서 대북 전단 살포가 표현의 자유니까 막지 못한다는 취지의 판결이 있었던 것인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2015년 1심 판결문을 보면, 대북 전단이 '표현의 자유'에 속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전단 살포를 막을 수 있다는 판결이었습니다.
1심부터 대법원까지 판단은 모두 같았습니다.
<앵커>
홍 대표 발언 취지와 판결 내용은 다르네요. 전단 살포가 표현의 자유에 속하지만 막을 수 있다고 법원이 판단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기자>
잠깐 화면 보시면, 이게 2014년 10월 10일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사무소 모습입니다.
바닥 패인 것 보이는데요, 북한이 고사총이라는 기관총을 10여 발 쏴서 생긴 겁니다.
이날 연천 지역에서 대북 전단을 날렸더니 북한이 사격한 건데, 다행히 사람이 맞지는 않았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을 거론하면서 대북 전단 살포 행위의 결과가 휴전선 근처 국민에게는 심각한 위험이 된다면서 전단 살포를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겁니다.
<앵커>
혹시 홍준표 대표가 다른 법원 판결을 인용한 것은 아닌가요?
<기자>
아닙니다. 저희가 홍 대표 측에 어떤 판결을 근거로 한 것이냐고 했더니 저희가 취재한 것과 같은 판결을 언급했습니다.
그래서 대북 전단 살포가 '표현의 자유'라고 한 홍 대표 발언은 법원 판결을 입맛에 맞게 부분적으로 인용해서 마치 전단 살포를 막을 수 없다는 판결이 있었던 것처럼 듣는 사람들을 오인하게 하는 주장이라고 하겠습니다.
박세용 기자psy05@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홍준표 "문재인 정권 감성팔이 안타까워..어리석은 판단"
-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홍준표 "위장 평화쇼" 발언에..같은 보수도 '전전긍긍'
- 홍준표, 김경수 비판.."감옥 가야 할 사람이 도청 온다 설쳐"
- 선관위, 홍준표에 과태료 2천만 원..洪 "민주당 선관위"
- [영상] 야구장 키스타임 순간..주섬주섬 펼쳐보인 '한 단어'
- '양예원 사진 유포' 20대 긴급체포.."인터넷서 구해 재유포"
- [영상] 범죄조직단의 관광객 납치 시도..공항 CCTV에 포착
- 국내 웹툰 10만 편 훔친 '밤토끼' 잡았다..작가들 화답
- "3년 전 찍었던 게.." '비공개 촬영회' 사진이 어떻게 유출됐나
- 서인국·박보람 "한 달 전 결별..좋은 선후배로 남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