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조치 연장..韓은 영구 면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내달 1일 만료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 계획이라고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이 밝혔다.
로스 장관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일부 국가에 한해 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어떤 국가에 대해 유예 조치가 연장되는지는 특정하지 않았다.
관세 부과와 마찬가지로 관세 유예기간 연장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르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내달 1일 만료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 계획이라고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이 밝혔다.
로스 장관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일부 국가에 한해 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어떤 국가에 대해 유예 조치가 연장되는지는 특정하지 않았다.
로스 장관은 수입 할당(쿼터)을 수용한 국가에는 관세 부과를 면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 미 경제방송 CNBC는 "쿼터는 관세가 유예된 모든 국가와 매우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사안"이라며 "유예 기간은 국가별 협상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쿼터에 합의한 한국은 영구적으로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은 2015~2017년 대미 평균 철강 수출량인 383만톤의 70%에 해당하는 268만톤의 쿼터를 수용했다. 현재까지 관세를 면제받은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중인 캐나다와 멕시코는 유예 기간이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브라질과 호주, 아르헨티나는 연장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CNBC는 전했다.
관세 부과와 마찬가지로 관세 유예기간 연장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르게 된다. 즉 유예기간 연장 여부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린 셈이다.
김영선 기자 ys8584@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변호사가 '오픈'된 사무실에서 성관계를..품위 문제 없다고요?"
- [단독] 한진그룹 장녀 조현아 前부사장, 8년만에 이혼 소송
- [단독]조양호 회장 증거인멸 의혹..자택서 'A4 1000장 분량' 폐기
- 김정은의 고백 "北 교통 등 참으로 민망..앞으로 잘하겠다"
- 김정은 방명록, "빠르게 써내려간 글씨..두뇌회전 빨라"
- 증시 쥐락펴락 트럼프…"내부자 거래" "공매도 하냐" 비판 - 머니투데이
- "침체 올 수도" 월가 황제도 경고…트럼프 '관세 유예' 비하인드 - 머니투데이
- '이규혁♥' 손담비, 출산 열흘 앞두고…"좀 슬프다" 토로,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김부선, '김흥국과 불륜설' 악플러 고소…"인격 살해당했다" - 머니투데이
- "너네만 빼고" 현란한 트럼프 전략…당황한 중국? 다시 '맞대응' 할까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