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속 경제]<레디 플레이어 원> - 주간경향
<레디 플레이어 원>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스필버그가 잔뜩 숨겨놓은 ‘이스터에그’

‘부활절 계란’을 뜻하는 이스터에그는 게임이나 프로그램 등에 숨겨놓은 재미있는 메시지나 기능을 말한다.

가상현실(VR) 제품이 어느새 가전 양판점 가장 목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VR 고글을 쓰면 다른 세상이 시작된다. 스키점프를 타거나 번지점프를 할 수도 있고, 고흐의 그림 속이나 역사적 순간에도 들어갈 수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레디 플레이어 원>은 VR이 일상이 된 2045년의 이야기다. 미래는 시궁창 같은 삶이 기다리는 디스토피아다. 유일한 탈출구는 VR 게임인 ‘오아시스’다. 오아시스 속 자신의 아바타는 코인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 빈민촌에 사는 18세 ‘게임덕후(게임에 미칠 정도로 빠진 사람)’ 웨이드 와츠(타이 쉐리던 분)는 말한다. “오아시스 말고는 갈 데가 없어요. 내 삶의 의미를 찾는 유일한 장소예요.”

[영화속 경제]<레디 플레이어 원>

오아시스 창시자 할리데이는 자신이 게임 속 곳곳에 숨겨둔 ‘이스터에그’를 찾는 사람에게 전재산인 5000억 달러와 오아시스의 소유권을 상속하겠다는 유언을 남긴다. 와츠의 아바타인 ‘파시발’은 할리데이가 사랑했던 1980년대 대중문화 속에서 힌트를 하나씩 찾아낸다. 최고의 경제체제가 된 오아시스를 소유하고 싶었던 거대기업 IOI는 현실세계에서 와츠를 제거하기로 한다.

영화 속에서 이스터에그는 3개의 키를 모으면 가질 수 있는 황금달걀을 뜻한다. 하지만 이스터에그의 원뜻은 따로 있다. ‘부활절 계란’을 뜻하는 이스터에그(Easter Egg)는 제작자나 프로그래머가 게임이나 프로그램 혹은 책·영화·DVD 등에 몰래 숨겨놓은 재미있는 메시지나 기능을 말한다. 이스터에그는 부활절 토끼가 부활절 전날 아이들이 있는 집에 색을 칠한 사탕과 달걀이 섞여 담겨 있는 바구니를 숨겨놓는다는 부활절 풍습에서 유래됐다. 포털사이트 ‘구글’은 이스터에그가 많다. 구글 검색창에 ‘zerg rush’나 ‘30th anniversary of pacman’을 입력하면 게임도 할 수 있다.

이스터에그가 널리 알려진 것은 1979년 출시된 게임 ‘아타리 2600’의 <어드벤처>다. 게임제작자였던 워렌 로비넷은 게임 속 특정 픽셀 속에 자신의 이름을 숨겼다.

스필버그는 자신의 영화에 ‘절친’인 조지 루카스를 위한 이스트에그를 종종 숨겨놨다. 영화 <ET>에는 ET와 삼남매가 할로윈을 맞아 스타워즈의 ‘요다’와 조우하는 장면이 나온다. 디즈니와 픽사의 애니메이션에도 이스트에그가 꼭 포함돼 있다. <겨울왕국> 엘가의 대관식에는 라푼젤이 나타나고, <코코>에서 미구엘이 시장에서 파는 장난감 속에는 니모와 도리가 보인다.

<레디 플레이어스 원>에는 1980년대 대중문화가 잔뜩 숨겨져 있다. ‘백 투더 퓨처’의 드로리안 자동차와 ‘아키라’의 빨간 모터바이크가 눈에 띈다.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에서 뛰어내리는 킹콩이나 승용차를 물고 흔드는 공룡 티렉스의 모습도 눈에 익다. 춘리, 류 등 스트리트파이터의 멤버들도 있다. 건담, 아이언자이언트 등 ‘그 시절’ 로봇도 빼놓을 수 없다. 237호방, 피가 쏟아지는 복도, 쌍둥이 자매 등은 공포영화 ‘샤이닝’에서 따왔다. 이스터에그를 널리 알린 ‘아타리 2600’ 게임도 영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 IGN은 영화 속에 최소 138개의 이스터에그가 있다고 밝혔다.

수많은 이스터에그가 있지만 스필버그가 전달하고 싶었던 진짜 ‘이스터에그’는 무엇일까. 오아시스의 창시자 할리데이는 말한다. 현실은 차갑고 무서운 곳이지만 동시에 따뜻한 밥을 먹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고. 아무리 힘들어도 도피할 수 있는 가상세계는 없다. 문제가 있다면 파시발(터아 쉐리던 역)처럼 연대를 통해서 바꿔나가야 한다.

‘현실만이 진짜(reality is real)’, 이 한 문장이 스필버그가 숨겨놓은 마지막 ‘이스터에그’가 아니었을까.

<박병률 경향신문 경제부 기자 mypark@kyunghyang.com>

영화속 경제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