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 못 할 댓글 영향력에 '조작 유혹'도 ↑..해결책 있나

박준우 2018. 4. 24. 21:3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댓글 조작' 사건을 취재하고 있는 박준우 기자와 함께 이 문제를 한 걸음 더 들어가서 살펴보겠습니다.

이른바 '헤비 유저'. 굉장히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을 얘기하는 것이죠. 이런 헤비 유저로 불리는 댓글 작성자들의 영향력이 따져보면 작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저렇게 심하게 올려대니까요. 그런데 댓글의 영향력이 커지다 보니까 조작 사건도 그래서 나오는 거겠죠?

[기자]

맞습니다. 먼저 네이버 뉴스에 댓글이 달린 현황을 분석해 주는 '워드미터'라는 웹사이트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지난해 10월 30일부터 지금까지 네이버 뉴스에 한 건이라도 댓글을 단 사용자는 175만여 명입니다.

그 가운데 1000개 이상의 댓글을 단 아이디는 약 3500여 개로 분석이 되는데요.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사용자 인구가 약 4500만 명인데 그의 한 0.008%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그러니까 극소수에 달한다고 볼 수 있겠죠.

특히 우리나라는 인터넷 사용자의 포털 뉴스 의존도가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히 높습니다.

자연스레 뉴스에 달린 댓글을 보게 되고, 이런 댓글이 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그런 구조입니다.

댓글의 영향력이 커지다 보니까 조작사건이 계속 불거지고 있고 그래서 돈을 받고 댓글을 써주거나 아니면 이번 드루킹 사건처럼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려서 댓글 공감수를 조작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 취재진이 헤비유저들의 댓글 내용도 분석을 했잖아요. 그러니까 어떤 특정한 성향이 나타나더라, 그런 얘기죠?

[기자]

맞습니다. 크게 두 가지 경향성을 보였는데요.

일단 지난 여섯 달 동안 최상위 헤비유저 30명이 단 댓글을 분석을 했습니다.

이 30명이 여섯 달 동안 무려 7만 5000여 개의 댓글을 쓴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앵커]

30명이요?

[기자]

맞습니다. 현재 한 아이디당 하루에 달 수 있는 최대 댓글은 20개로 제한이 돼 있는데 거의 매일같이 20개를 다 채우는 셈입니다.

[앵커]

이걸 업으로 하지 않는 다음에야 하루 20개씩 매일 다는 것도 확실히 일인데, 아무튼 그래가지고요.

[기자]

그래서 첫 번째로 보인 이들의 경향성은 같은 댓글을 복사해서 퍼뜨리는 경향이 보였습니다.

어제 하루치 내용을 분석을 해봤는데, 한 헤비유저의 경우 '이것이 대통령과 민주당이 말하는 정의로운 세상인가요'란 똑같은 정부 여당을 비판하는 내용의 댓글을 20개를 복사해서 퍼뜨렸습니다.

그러니까 3개의 서로 다른 기사에 20개의 같은 댓글을 단 것이죠.

[앵커]

그렇군요.

[기자]

두 번째로는 정치와는 전혀 상관없는 기사에 정치 성향의 댓글을 달기도 했습니다.

그러니까 로또 번호 당첨 기사에 문재인 대통령을 비난하는 댓글을 여러 개 단 겁니다.

[앵커]

정말 상관없는 일이네요. 네이버도 이런 사실을 모를 리가 없는데 왜 아무런 규제를 안 한다고 합니까?

[기자]

아무래도 포털 입장에서는 이용자의 클릭 수가 늘어나고 체류시간이 좀 늘어야지 그만큼 광고 단가가 높아질 수가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는 3년 전에 댓글 정책을 바꾸면서 이용자 수가 많이 늘어났는데요.

댓글의 정렬 방식을 최신순에서 호감순으로 바꾼 겁니다.

하지만 그러면서 이른바 '댓글 전쟁을 부추겼다'는 비판에 직면을 했습니다.

[앵커]

당연히 그렇죠.

[기자]

이용자들은 성향에 따라서 '공감'과 '비공감'을 누르다 보니까 다툼이 이제 벌어지게 된 겁니다.

네이버는 또 지난 2006년에는 원래 하루 최대 댓글 수가 무제한이었는데, 그거를 10개로 줄여놓습니다.

하지만 6년 뒤인 2012년에 다시 20개로 늘려놓습니다.

그러니까 문제가 불거지고 비판이 늘면 정책을 바꾸고 다시 좀 잠잠해지면 슬그머니 되돌려놓는 일을 반복을 한 겁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포털 사이트의 덩치와 어떤 영향력에 맞게 책임과 규제를 지워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앵커]

포털 사이트의 어떤 뭐랄까요. 이렇게 표현하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돈벌이를 위해서 결국은 여론이 왜곡되는 현상을 방치하고 있는 상황, 이렇게 봐도 된다는 얘기입니까?

[기자]

내일 네이버는 새로운 댓글 정책을 발표한다고 했는데요.

어떻게 개선책이 나올지 한번 살펴봐야 되겠습니다.

[앵커]

내일 발표할 내용은 조금 이따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박준우 기자였습니다.

◆ 관련 리포트
커지는 '댓글 불신'…'헤비 댓글러' 3200명 분석해보니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887/NB11623887.html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