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실내 정원'으로 미세먼지 잡는다..그 효과는?

이윤희 2018. 4. 14. 21:54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 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성별
말하기 속도
번역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와 황사 때문에 공기 질에 대한 걱정과 관심이 많아지면서 요즘 실내에 정원을 가꾸는 분들이 뿌쩍 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공기청정기로써 과연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이윤희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싱그러운 녹색이 가득한 이 곳!

건물 안에 들어선 수직정원입니다.

다양한 식물이 숨쉬는 공간 맑은 공기를 찾는 직장인들의 쉼텁니다.

[조경숙/직장인 : "미세먼지가 요즘 심하잖아요. 목이 칼칼하고 막 그런 느낌이 드는데 이곳에 오면 숨을 크게 들이 마셔도 속이 후련한 듯한 그런 느낌을 받아요."]

집 안 거실도 화초가 차지했습니다.

부엌과 공부방 화장실까지 식물 종류만 열가지가 넘습니다.

미세먼지 여파로 일상 속 녹색 공간이 주목받으면서 공기 정화용 식물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효과를 실험해봤습니다.

밀폐된 유리 상자 안에 식물을 넣고 미세먼지를 발생시킵니다.

4시간 뒤 미세먼지 농도는 식물을 넣지 않은 공간의 5분의 1수준입니다.

[김광진/농촌진흥청 원예연구사 : "잎의 앞면은 왁스층이 발달돼 있는데 미세먼지가 흡착이 되어서 제거되는 것이고 뒷면을 보면 기공이 있는데 공기가 들어갈 때 미세먼지가 같이 흡수돼서... (제거됩니다)"]

잎의 형태에 따라 관리법도 다릅니다.

잎이 넓은 식물은 젖은 수건으로 결을 따라 닦아줍니다.

잎이 가늘고 털이 난 식물들은 30분 가량 물에 담갔다 꺼내면 흡착된 오염 물질이 제거됩니다.

화분의 물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갈아주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이윤희기자 (heeya@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검색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