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수·밑반찬 '건보리새우'.. 머리 떼고 먹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른 반찬이나 육수 우려내기에 많이 사용되는 건보리새우 머리에서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12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중금속(카드뮴) 검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던 건보리새우를 다시 검사한 결과, 몸통 부분은 안전하지만 머리부분은 그렇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앞서 연구원이 지난해 1~12월까지 시중에 유통 중인 수산물 844건의 중금속 검사를 벌인 결과, 건보리새우 3건과 새꼬막 1건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카드뮴이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른 반찬이나 육수 우려내기에 많이 사용되는 건보리새우 머리에서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12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중금속(카드뮴) 검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던 건보리새우를 다시 검사한 결과, 몸통 부분은 안전하지만 머리부분은 그렇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앞서 연구원이 지난해 1~12월까지 시중에 유통 중인 수산물 844건의 중금속 검사를 벌인 결과, 건보리새우 3건과 새꼬막 1건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카드뮴이 나왔다. 부적합 처리된 건보리새우 3건의 카드뮴 수치는 각각 1.4㎎/㎏, 1.6㎎/㎏, 1.7㎎/㎏이었다.
이에 연구원은 지난 2월 같은 건보리새우를 대상으로 다시금 중금속 검사를 벌였다. 이번에는 머리, 몸통, 전체 등 세 부위로 나눠 검사를 진행했다. 건보리새우의 카드뮴 기준치는 생물 기준 1.0㎎/㎏ 이내이지만 머리에서 카드뮴 나온 수치는 2.9㎎/㎏에 달했다. 몸통만 분석했을 때는 카드뮴이 0.2㎎/㎏에 불과했다.
카드뮴은 호흡곤란, 골연화증, 간장·신장 장애 등을 일으키는 1급 발암물질로,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건보리새우로 음식을 만들 때 될 수 있으면 머리를 떼어내고 몸통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재은 기자 jennylee1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친구 결혼식 못가는데.."축의금 계좌로 보내라고?"
- '사진집' 안신애, '아찔 섹시+인형 미모' 끝판왕
- [MT리포트] '빚 수렁' 대출.. 금융권 '약탈'보다 '과잉'이 문제
- [단독]신반포12차 재건축 복병.. 지하실 '숨은 땅주인' 수백명 등장
- [단독]삼성증권, 고객에 주식 사준 PB도 찾아낸다
- "공 주우러 갔다 급류 휩쓸려"…캠핑장 앞 하천서 7세 어린이 숨져 - 머니투데이
- "집 포기" 3040 매수 문의 뚝 끊겼다…강남·성남은 이미 '거래절벽' - 머니투데이
- "갤S25 공짜" 보조금 전쟁에 '엣지' 효과…하반기엔 '자체칩' 승부수 - 머니투데이
- 정은경 복지장관 후보자 "주식 논란 잘못된 내용 많아…의료계와 협력 복원 시급" - 머니투데이
- 동네에 많던 편의점, 돌연 '폐점·폐점'…두 달간 313곳 줄었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