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주식' 28억주 파문 삼성증권 '똑같은 수법'으로 공매도 했었나
[경향신문] ㆍ실물 발행 않고 한도까지 초과
ㆍ“조폐공사냐” 비난 목소리 봇물
ㆍ공매도 금지 청원 13만명 넘어
삼성증권의 ‘유령 주식 배당 사고’를 두고 “삼성증권이 조폐공사냐”며 비난하는 목소리와 함께 공매도를 금지해달라는 청와대 청원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특히 일부 직원이 300억원가량의 주식을 매도한 것으로 알려져 도덕적 해이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 자료를 보면 삼성증권의 총 발행주식수는 8930만주, 발행한도는 1억2000만주이다. 그러나 지난 6일 직원들에게 배당된 주식수는 28억주이며 이 중 직원들이 매도한 주식수가 501만2000주이다.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주식수보다 31배나 많은 주식이 갑자기 직원의 ‘클릭’ 한번으로 새로 생겨난 셈이다.
보통 주식을 발행할 때는 삼성증권 이사회와 주주총회 결의를 거쳐 실물 인쇄를 하고 한국예탁결제원 등록을 거친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주식이 발행되지도 않았는데 전산상에 ‘28억주’가 입력되면서 벌어졌다.
전산상 오류를 걸러내는 시스템이 없었다는 점은 물론 증권사가 마음만 먹으면 존재하지도 않는 주식을 언제든지 만들어내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금융당국이 삼성증권뿐 아니라 모든 증권사들의 계좌 관리 시스템 전반을 들여다보기로 한 점도 이 때문이다.
특히 지금까지 공매도가 이 같은 방식으로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공매도란 주식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없는 주식’을 미리 파는 행위이다. 주식투자를 하는 김모씨(40)는 “삼성증권이 무슨 조폐공사냐”면서 “지금까지 이뤄진 공매도도 다 이런 식으로 이뤄진 거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지난 6일 올라온 ‘삼성증권 시스템 규제와 공매도 금지’라는 제목의 청와대 청원은 이틀 만에 10만명을 돌파해 이날 현재 13만명을 넘어섰다.
비정상적인 주식이 들어왔음에도 증권사 직원들이 회사에 확인하거나 신고하지 않고 급하게 내다 팔아 현금화한 것은 도덕적 해이의 극치란 비판도 거세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 6일 ‘유령 주식’을 매도한 사람은 16명이다. 금융권에서는 한 계좌에서 78만주(약 300억원)의 대량 매물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량 매도 계좌에서 시장질서 교란행위 등이 있었는지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지선 기자 visi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0조 '배당착오' 삼성증권 오늘 특별검사
- 선관위 시연장에 나타난 부정선거론자들…“CCTV를 어떻게 믿냐” “지문인식도 뚫려”
- 분노한 경호처 직원들 “김성훈 사퇴하라” 연판장
- 이철우 “윤 전 대통령, 약주도 한 잔 안 하셔서 걱정”
- 마은혁,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헌법소원’ 주심 맡는다···가처분 인용 여부 촉각
- [단독]윤 파면됐어도…인천국제공항보안 사장에 국힘 출신 ‘낙하산 인사’ 추진
- ‘373명 탑승’ 마닐라발 LA행 필리핀 여객기 일본에 비상착륙···기내 연기 발생
- [속보] 윤석열, 11일 오후 5시 한남동 떠난다···파면 일주일 만에 사저로 이동
- ‘피의자’ 이완규 헌법재판관 자격 논란, 과거 수사받은 재판관은?
- [단독] 5411억→1300억, 폭싹 주저앉은 기초학력 예산 “교육격차 어쩌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