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사법 시행 두 달 만에 3400여명..요양병원선 '먼 얘기'
어환희 2018. 4. 6. 21:50
행정·재정적 부담..'윤리위 설치' 지지부진
[앵커]
연명 의료 결정법이 시행된 지 두 달째입니다. 오늘(6일)까지 3400여 명의 말기 환자들이 연명 치료를 중단했습니다. 대부분 상급 종합병원에 몰려 있어, 다른 병원들은 먼 얘기입니다.
어환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월 서초구에 있는 이 요양병원에서 말기암환자인 김 모 할아버지는 항암제 투여 등 연명의료를 받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장문주/서초참요양병원장 : 기대 여명, 앞으로의 삶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셨던 것 같습니다. ]
오늘까지 3447명이 연명치료를 거부하고 존엄사 택했습니다.
직접 거부 의사를 밝힌 환자는 1189명입니다.
연명의료계획서를 쓰지 못한 채 임종기를 맞이한 2258명은 가족들의 확인이나 합의가 있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앞선 김 씨 할아버지처럼 이런 요양병원에서 실제로 연명의료를 받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의료기관윤리위원회가 설치된 의료기관에서 사망에 임박했다는 판단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윤리위는 비 의료인 2명을 포함해 5명 이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선 병원들은 부담을 호소합니다.
이때문에 윤리위가 설치된 요양병원은 전체 요양병원의 0.9% 수준인 14곳에 불과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은 전체 42곳 중 40곳에 윤리위가 있는데, 일반 병원은 전국에 단 5곳만 설치돼 있습니다.
대학병원에 갈 수 있는 환자만 존엄사가 가능한 현 제도의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디자인 : 송민지)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JT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양산 요양병원 식당서 불..환자 52명 대피, 인명피해 없어 신체 마비 환자 5년간 25% 증가..환자 3명중 1명은 70대 이상 "병원도 못 가보고 숨져"..의료 사각지대 방치된 이주노동자들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