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박근혜 전 대통령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유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문화예술계 지원배제' 행위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법원이 인정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는 6일 박 전 대통령 선고공판에서 문체부 산하 위원회 직원들에게 특정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배제를 강요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에 대해 유죄로 판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범 재판서 부정된 강요죄도 인정
[한겨레]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문화예술계 지원배제’ 행위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법원이 인정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는 6일 박 전 대통령 선고공판에서 문체부 산하 위원회 직원들에게 특정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배제를 강요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에 대해 유죄로 판단했다. 재판부는 “정치이념이 다르다고 해서 지원을 배제한 것은 위헌적 조치”라며 이같이 판단했다.
재판부는 아울러 박 전 대통령이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장이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공모해 지원배제 명단 적용에 소극적이던 문화체육관광부 1급 공무원 3명(최규학·김용삼·신용언)의 사표 제출을 요구한 혐의(직권남용·강요)도 유죄로 봤다. 재판부는 “세공무원은 특별한 업무상 과오 있었다고 볼 수 없고, 실장급 공무원을 한꺼번에 면직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세 사람에 대한 사직 요구는 객관적·합리적 이유없이 블랙리스트 집행에 소극적이라는 이유로 자의적으로 이뤄졌다”고 했다.
재판부는 또 박 전 대통령이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을 통해 노태강 전 문체부 체육국장의 사표 제출을 강요한 혐의(직권남용·강요)도 유죄로 인정했다. 재판부는 이날 재판부는 “노태강은 사직서 제출을 거부하면 동료나 부하에게 피해갈까 두려워서 사직서 제출할 수밖에 없었다고 진술했다”며 “사직을 요구한 것은 노태강에게 또 다른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일으켜 사직을 강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재판부는 ‘문화예술계 지원배제’, ‘1급 공무원 사직 강요’, ‘노태강 사직 강요’에 적용된 강요죄도 함께 유죄로 판단했다. 앞서 공범인 김기춘 전 실장이나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 김상률 전 수석 등은 1·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강요죄에 대해서는 무죄가 선고된 바 있다. 현소은 서영지 기자 soni@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재용과 다른 박근혜 재판..정유라 말·안종범 수첩 인정
- 김생민 성추행에 김숙도 하차하는 현실이 말하는 것
- 박근혜 전 대통령이 스스로 쌓은 '거짓말의 산' 다섯 봉우리
- 리설주 호칭 '여사'로 .. 남북정상회담 준비위 판문점 답사
- 삼성증권 초유의 배당사고 .. 유령주식으로 풀린 500만주
- [팩트체크] '4·3 폄훼' 조선일보·홍준표 대표가 틀렸습니다
- 끝내 안 나온 박근혜, 재판장은 '1시간42분' 물도 안 마시고 선고
- ㄱ(김기춘)부터 ㅎ(황교안)까지 박근혜 '흑역사 사전'
- [포토] 박근혜 '(미래의 나를) 살려야 한다'
- [화보] 봄이 줬어요, 내게 꼭 맞는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