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硏 "한미연구소 지원 중단, 적폐청산과 무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한미연구소(USKI)에 예산 지원을 끊고 적폐청산 식 코드인사를 추진했다는 의혹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연구원은 6일 "국회의 개선 요구에 대응해 한미연구소의 사업 개선 방안을 추진한 것"이라며 "(정치권 등) 외부의 영향은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존스홉킨스대 연구 지원은 계속"
연구원은 6일 “국회의 개선 요구에 대응해 한미연구소의 사업 개선 방안을 추진한 것”이라며 “(정치권 등) 외부의 영향은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연구원은 오는 6월부터 한미연구소에 대한 예산 지원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보수 성향의 구재회 USKI 소장 교체 요구를 존스홉킨스대 측이 거부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연구원은 “국회의 2016년도 결산심사(2017년 8월24일), 2018년도 예산안 심사(2017년 11월14일)에서는 △한미연구소의 결산 관련 자료제출 미흡 △방문학자 및 인턴십 공모·선발 절차의 투명성 부족 △형식적인 이사회 운영 △소장의 장기 재직 문제 등을 지적하고 시정요구를 했다”며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지속적으로 한미연구소 사업에 대한 개선 요구가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 사실은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 측에 통보됐다. 원만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여러 대안을 상호 논의해 왔다”며 “회계보고의 투명성 확보 및 소장의 장기재직 문제 등 국회의 주요 개선요구 사항은 수용할 수 없다고 통보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한미연구소에 대한 지원을 SAIS 한국학(Korea Studies Program) 지원으로 변경해 SAIS와 협력을 지속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현 상황에서 사업개선 가능성이 희박한 한미연구소 지원 사업은 6월부터 중단할 것”이라며 “SAIS 내 한국학·한국어 교육프로그램 및 관련 연구 지원은 지속할 것이다. 미국 내 명망 있는 연구기관 및 대학교들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해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사업 다각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훈길 (choigig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년 쉬다 나오지 뭐 음주운전 가볍게 생각하는 연예인들
- 윤서인의 '김생민 저격' 글.. 결론은 대통령 비아냥?
- 조용필 팔짱 낀 北현송월..'봄이 온다' 비하인드컷 공개
- 이재명 아내는 SNS 계정도 없다..인신공격 멈춰달라
- "레드벨벳 율동 산만해..北에 자랑거리 아냐"..탈북 기자, '봄이 온다' 혹평
- [르포]후~하고 부세요 하자 '삐빅'..포르쉐도 스파크도 '비틀'
- [한국갤럽]文대통령 지지율 74%..'남북 해빙'에 4%p '껑충'
- [금융인사이드]카드사 수익 악화에..여신協 노사 10년만에 첫 임금동결
- 인수 한 달 만에..대우전자 구조조정 돌입
- 法 朴, '이미경 퇴진 강요' 지시..16번째 공모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