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로봇 시대..사라질 직업 번역가·캐셔, 생존할 직업 연예인·작가
구인구직 사이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과 취업준비생 4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복수 응답 가능) 응답자의 31%가 번역가를 미래 사라질 직업으로 꼽았다. 캐셔(26.5%)와 경리(20%)가 뒤를 이었으며 공장 근로자(18.8%)와 비서(11.2%)도 곧 없어질 직업으로 예상했다. 10위 안에는 서빙·매장관리(10.5%), 데이터베이스 관리자(9.7%), 약사(9.3%), 배조종사(8.9%), 택배원·배달원(8.5%) 등이 포함됐으며 이들 직업을 선택한 응답자의 93.2%가 '컴퓨터나 로봇이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아서'라고 답했다.
미래에 살아남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은 주로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거나 인간의 감정을 다루는 일들, 예술 활동을 하는 영역에서 나왔다. 1위는 연예인으로 응답자의 33.7%가 선택했으며 작가(25.7%)가 뒤를 이었다. 영화·연극감독(23%), 화가·조각가(15%) 등이 뒤를 이었고 사회복지사(10.6%), 경찰관·소방관(10.3%), 교사(10.3%), 간호사(10.1%), 미용사·이발사(9.8%) 등이 10위권에 속했다.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중 43.5%는 자신의 직무가 미래에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재무·회계 분야에 종사하는 직장인의 73%가 '미래 자신의 직무가 사라질 것'으로 답했다. 인사·총무직(56.6%), 고객상담직(54.3%), 생산·제조직(53.7%), 마케팅·홍보직(51.7%) 등 직군도 자신의 미래를 불투명하다고 내다봤고 정보기술(IT)·소프트웨어 종사자들의 45.8%가 평생직장이 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전문직(21.2%), 디자인직(29.6%), 기획·전략직(30.4%), 연구개발직(30.8%) 종사자는 자신의 직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강인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주열 총재 "리스크 감안, 통화정책 완화기조 유지"
- 김기식 "금감원, 금융권 압박보다 신뢰회복이 우선"
- 10대그룹 상장사, 사상 최대 실적에도 기부금은 감소
- 퇴근길 미리보는 4월 3일자 매일경제신문
- 곶감 빼먹듯..中企 재직청년에도 '돈풀기'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