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망분리' 보안조치 거부, 11개社 방산업체 지정 취소될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 당국이 방위산업체의 보안강화를 위해 '망분리' 조치를 의무화하자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방사청 관계자는 "업체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망분리를 위한 장비 구매시 은행 대출이자를 지원해주고 업체 환경이나 제정상태 등을 고려해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논리적 망분리 등의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방산업체가 군사기밀을 취급하고 있는 만큼 군 기관에 준하는 보안성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軍 당국 "군 기밀 취급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어,
중견중소기업 지원책 모색 중"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군 당국이 방위산업체의 보안강화를 위해 ‘망분리’ 조치를 의무화하자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과도한 투자비가 들어 부담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방위사업청 등 관련 당국은 보안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2일 방산업계와 군 당국에 따르면 최근 방산물자분과위원회가 망분리 조치를 거부한 11개 방산업체에 대한 방산업체지정취소 건의안을 의결했다. 국내 방산업체가 101개인 것을 감안하면 1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들 업체의 방산업체지정취소는 산업통상자원부 심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망분리는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내부 전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네트워크 망을 이중화시켜 업무용과 개인용을 구분하는 것이다. 망분리 방식은 지난 2009년 국가정보원이 공공기관들에게 제시한 물리적 망분리와 논리적 망분리로 나뉜다. 물리적 망분리는 △한 사람이 두개의 PC를 사용하거나 △전환 스위치로 망을 분리해 내는 방식, △네트워크 카드를 두개 탑재한 PC를 사용하는 방안 등이 있다. 논리적 망분리의 경우에는 △서버 기반 컴퓨팅(SBC) 방식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데스크톱가상화(VDI) 방식 △하나의 PC에 두개의 운영체제(OS)를 설치하는 OS 커널 분리 방식 등이 있다.
대형 방산업체들은 계속해서 사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수 십억원에서 수 백억원을 들여 어쩔 수 없이 망분리 조치를 하고 있는 상황. 하지만 방산부문 매출이 크지 않은 중견·중소기업 입장에선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한 방산업체 관계자는 “회사 전체 매출 중 방산 매출은 5000만원 밖에 안되어도 망분리를 위해 1억원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면서 “방위사업 이익률이 3%도 안되는 상황에서 무리한 의무조치”라고 말했다.
업체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방위사업청은 사업 수주시 망분리 비용을 원가에 반영해 주기로 관련 규정을 바꿨지만, 사업을 따내지 못하거나 규모가 작은 사업만 수주시에는 업체 부담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유지보수 비용도 고스란히 업체 몫이다. 군 당국은 물리적 망분리가 현재로서는 최고의 보안 수단이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업체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망분리를 위한 장비 구매시 은행 대출이자를 지원해주고 업체 환경이나 제정상태 등을 고려해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논리적 망분리 등의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방산업체가 군사기밀을 취급하고 있는 만큼 군 기관에 준하는 보안성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관용 (kky144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춘추관에서]지지율 미스터리.."文대통령 70%는 거짓" vs "왜 아직 한국당을"
- 레드벨벳 만난 김정은의 취향은?.. 영어 유창하고 디즈니 캐릭터 선호
- 김생민, '성추행' 의혹 인정 모든 것이 제 잘못..정말 죄송하다
- 레드벨벳 평양공연, 15년 전 베이비복스와 어떻게 달랐나
- 변호사 시험 절반만 합격..로스쿨 '변시낭인' 몸살
- [이정훈의 블록체인 탐방]개인정보 축적, 보험상품 혁신 돕는다
- [주총 대란 현실화]①'주식이 모자라'..75개사 주총 안건 못 올려
- '등록금 받고 中企 취업'..대학생 4200명에 희망사다리장학금 지원
- "中, 美반도체 수입 늘려도..삼성·SK하이닉스엔 타격 없어"
- 톈궁1호, 9~10시 지구추락..한국은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