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못 돌려주니 집 사라?..'깡통 주택' 떠넘긴 주인
[앵커]
경기도 동탄 신도시에서 한 사람이 무려 아파트 70여 채를 경매에 내놓았습니다. 전세를 끼고 대량으로 샀다가 집값이 떨어지자 내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전세금을 제 때 돌려받기 어려워진 세입자들입니다. 울며 겨자 먹기로 이 '깡통주택'을 사는 세입자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주찬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 동탄신도시의 김모 씨는 아파트 전세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할까 걱정입니다.
살고 있는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서 입니다.
문제는 아파트 값이 떨어지면서 경매도 유찰되는 경우가 잦아 언제 전세금을 찾을 수 있을지 기약이 없다는 겁니다.
[김모 씨 (세입자) : 경매 자체는 취소가 되고 근저당권만 남아 있는 상태가 계속되든지 아니면 (전셋값) 그 이하 금액으로 낙찰이 돼서 보증금을 못 받을 수 있으니까 불안한 거죠.]
김 씨의 전셋 집을 포함해 동탄에선 최근 아파트 70여 채가 한꺼번에 경매에 쏟아져 나왔는데 모두 한 사람의 소유입니다.
전세금을 걱정하는 세입자들에게 집주인은 아예 집을 사라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세보다 비싼 값에 울며겨자먹기로 산 이들도 있다고 세입자들은 말합니다.
[이모 씨 (세입자) : 부동산이 침체 상황인데 저희 동네가. 시세보다 1천만 원, 2천만 원 많게는 3천만 원까지 더 부르면서 사라고 협박 아닌 협박을 하고 있는 것이죠.]
갭투자 후유증에 동탄 뿐 아니라 경기도 시흥 등지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생기고 있다는 것이 부동산 업계의 전언입니다.
집 값이 조정기에 들어가는 곳이 늘면서 경기도의 주택 경매 낙찰가율도 1월 85.4%에서 지난달 76.5%까지 떨어졌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동산 집중 단속 지나가자..다시 판치는 '다운 계약서' '로또 아파트'에 33조 몰린 이유..유명무실 '종부세' 강화되나 강남 '로또 아파트'..견본주택 첫날 1만 인파 북새통 '갭투자' 후유증..금리 상승·역전세난에 무더기 경매로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