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廣터뷰]]최문순 "남북 女아이스하키 단일팀, 강원도청 실업팀으로 유지 협의"

2018. 3. 20. 10: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창올림픽은 한반도 평화의 변곡점"

"남북 상설 단일팀, 유지 성사 땐 상시적인 체육 교류 물꼬 트여"

"지난해 12월 북측 올림픽 참가, 확신 들어"

"경기장 활용 방안…개·폐막식장 제외하고 모두 유지·존속으로 가닥 잡아"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지난 16일 강원도 강릉 씨마크호텔 미디어센터에서 44일 간의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강릉=윤동주 기자 doso7@

[대담=오상도 정치부장]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도청 실업팀으로 존속시키는 방안을 (정부 등과) 협의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아주 어렵게) 만들어지지 않았습니까. (북측과) 식사를 함께하며 '중국 등 제3국에서 선수단을 상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겠느냐'고 물으니 흔쾌히 승낙하더군요. 그쪽에서 '꼭 (제3국에서) 팀을 유지할 필요가 있느냐'고 되물었습니다. 국내에는 아직 여자 아이스하키 실업팀이 없습니다. 연 유지비용은 15억원 안팎인데, (성사된다면) 상시적인 남북 체육교류의 물꼬를 트는 의미가 있죠. 그런데 북측 선수들을 데려오려면 (법적) 거주문제 등이 걸려 이 부분을 검토 중입니다."
남북 관계의 앞날을 내다보는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말과 표정은 확신에 차있었다. 최 지사는 평창동계올림픽ㆍ패럴림픽을 '스포츠 데탕트(긴장완화)'라고 말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한반도의 위기를 잠시나마 불식시키며 남북, 북·미 대화의 지평을 연 방아쇠가 된 덕분이다.

그는 "올림픽(패럴림픽 포함) 성공개최에 힘쓴 모든 이에게 감사드린다"며 "올림픽이 가져온 평화분위기야말로 경제효과를 상쇄하는, 평창대회가 남긴 가장 큰 유산"이라고 힘줘 말했다.

최 지사는 지난 44일간 평창올림픽의 호스트로서 대회 기간 '평창 외교'의 최일선에 서 있었다.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선수단, 응원단, 기자단과 돌아가며 모두 식사를 한 몇 안 되는 남측 인사이기도 하다.

패럴림픽 폐막을 이틀 앞둔 지난 16일 강릉 씨마크호텔 미디어센터(GMC)에서 마주한 최 지사는 올림픽 로고가 새겨진 점퍼를 입고 있었다. 창밖으론 경포대 해변의 거센 파도가 일렁였다.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상설팀은 어느 정도 진척됐나.
▲북측은 우리(예상)보다 더 적극적인 자세를 취한다. 평양에도 아이스하키장이 있다고 해서 애초에 남북 선수들이 오가며 훈련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지금은 (팀이 꾸려진다면) 북측 선수들이 이곳에 와서 살아야 하는지, 이런 문제들이 걸림돌이다. 만약 이게 안 풀리면 중국으로 건너가 팀을 유지해야 하는데…. 일단 강원도청 산하의 남북한 단일팀(실업팀)을 구상 중이다. 유지비용(연 15억원)은 엄청나게 큰 액수는 아니라고 본다.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의 남북 공동개최 제안을 놓고도 한동안 보수 정치권이 들썩였다. 남북 상설 단일팀은 체육교류를 매개로 한 소통의 장이 될 텐데, 어떤 논리로 설득할 것인가.
▲(보수 정치권의) 반발 논리를 잘 모르겠다. 반발하는 거는 약간 색깔론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에도 단발성으로 (드러낸) 올림픽의 가치, 지금까지 그랬지만 늘 단발성으로 (단일팀을) 꾸렸다가 흩어졌다. 그래서 체계적 시스템이 없다. 이번 단일팀이 (유지)되면 하나의 시스템이 된다. 나아가 남북이 공동으로 (동계대회를) 유치하면 좀 더 큰 규모의 시스템이 된다. 더 진화한 생물체가 되는 셈이다. 지금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동계스포츠) 시설을 갖고 있다. 선수들과 체육계 안팎에선 이 시설을 유지해 달라는 강력한 요구가 있다.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은 3년 남았는데 (지원한 곳이 없어) 아직 개최지가 결정되지 않았다.

최 지사는 이 같은 로드맵의 전제조건으로 좀 더 정교한 내부 결정 과정을 언급하기도 했다. 잠시 화제를 돌려 북측의 평창올림픽 참가 과정에 대해 물었다.

-북측의 올림픽 참가 여부를 언제쯤 인지했나.
▲(공식적으로는) 지난 1월1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 때 언론을 통해 알았다. 그 전에 통보받은 게 아닌 만큼 공개적으로 안 것은 그 때였다. 북측 최고 의사결정권자가 그렇게 빠른 속도로 답할지 몰랐다.

-비공식적으론 언제였나.
▲지난해 12월 중국 쿤밍에서 열린 남북한 유소년 축구 대회 때 확신이 들었다. 그곳에서 북측 관계자들을 만났다. 공식행사가 끝나고 (술도 한잔 하면서) 올림픽에 와 달라는 요청을 했을 때 (진지하게) 경청하는 느낌이었다. 통상 그들은 돌아가 보고서를 쓴다. 그때 (이들이 수뇌부에게 잘 보고할 것이라는, 그래서) 북한이 (평창에) 오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특별히 멘트가 있었던 건 아니었다. 그들도 평창올림픽 주최의 당사자인 내가 그곳까지 간 이유를 꿰뚫고 있는 듯 보였다.

-평창올림픽 때 사용한 경기장 활용 방안을 두고 다양한 얘기가 나온다. 기존 계획대로 일부 시설은 철거하나, 아니면 다른 방법을 구상 중인가.
▲여러 변화가 생겼다. 처음에는 개·폐막식장은 패럴림픽 폐막식 다음 날 바로 헐기로 했다. 다른 것들도 그렇게 일부는 헐고 되도록 적게 남기려고 했다. 그런데 미묘한 변화들 생기고 있다. 강릉 하키센터는 관동대학교가 '관동 평화센터'로 만들겠다고 한다. '영미!'를 외쳤던 컬링장도 원상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올해 연말까지 강릉시에서 유지해 보겠다고 한다. 오는 11월에 컬링 월드컵대회를 열기로 진행 중이다. 알파인스키장도 복원하기로 돼 있는데,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유치를 지켜보면서 선수들과 주민, 국제경기연맹 등이 유지를 요청하고 있다. 의사결정을 늦출 필요가 생겼다.

-윤성빈이 스켈레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평창 슬라이딩센터나 스키점프대는 국가대표팀을 위해 유지하는 것이 확정됐나.
▲스켈레톤·루지·봅슬레이연맹이 스스로 관리하며 쓸 수 있도록 넘겨달라고 한다. 그런데 그분들은 재정이 없으니, 강원도와 정부가 3분의 2 정도는 지원해 줘야 한다.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평창 슬라이딩센터는) 유지하도록 하고 예산 분담만 다시 결정해 넘기도록 할 것이다. 개·폐막식장 정도 빼고는 유지하는 걸로 (가닥이) 잡혔다. 다만 조금 더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최 지사는 폐막식 직후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건넨 얘기를 웃으며 전했다. "당초 IOC 내부에선 올림픽 연기나 취소까지 거론됐다고 하네요. 해외에서 느끼는 한반도 안보 위기감이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훨씬 컸다는 뜻이죠."

-평창올림픽이 열리기까지 위기도 많았다. 몇 점이나 줄 수 있나.
▲(웃음)평균 90점 정도다. 개막 전 노로바이러스가 도는 등 폭설 빼고는 거의 모든 위기상황을 겪었다. 그래서 개막 전 인터뷰 때 지금은 80점이지만 점차 좋아질 것이라고 얘기했다. 평창올림픽 유치 당시부터 강원도지사였다. 그때부터 북한을 올림픽에 참가시키는 게 성공 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반대로 갔다. 북한의 6차 핵실험, 미사일 발사 때문이었다. 올림픽을 앞두고 전쟁 나는 게 아니냐고도 했다.

-평창올림픽은 한반도 평화의 변곡점이 됐다. 올림픽의 효과는 어느 정도로 추산하고 있나.
▲접경지역인 강원도에 '평화는 돈'이라는 정치적 슬로건이 있다. 강원도는 관광이 경제의 73%를 차지하는데 (전쟁 위험·분쟁 등이) 미치는 영향이 엄청났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도 그랬다. 올림픽 이후 관광 분야에서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수출효과가 있다. 지난 15일 강원도 해삼 93억원어치를 중국에 수출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그동안 번번이 좌절됐던) 레고랜드 사업도 긍정적이다. 앞으로 관광, 수출, 투자유치가 과거보다 훨씬 좋아질 것이다.

정리=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