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페이스북..英·美 당국 조사, 수십억달러 벌금 가능성도
그간 숱한 개인정보 유출과 여론 조작 논란에도 아랑곳 않던 글로벌 소셜미디어 기업 페이스북이 궁지로 내몰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선캠프를 지원했던 영국 기반의 데이터분석기업이 페이스북 이용자 5000만명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활용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영·미 사법당국과 의회가 페이스북에 수사를 예고하며 압박에 나섰기 때문이다.
영·미 당국은 여느 때와 달리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소환을 예고하는 등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개인정보 유출 규모가 사상 최대인데다 해당 데이터기업이 영국 내 여론 조작 및 미국 대선 개입 의혹에도 연루돼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 페이스북이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의 규제를 어긴 것으로 드러나면 수십억달러의 벌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 내부고발자 폭로로 위기에 내몰린 페이스북…英·美 의회 저커버그 소환 예고
18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와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이날 미국과 영국 당국은 저커버그에게 직접 출석해 5000만명이 넘는 페이스북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트럼프 대선캠프를 지원한 데이터분석기업에게 넘어간 경위를 해명할 것을 요청했다.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지난 17일 NYT와 가디언이 이번 사건에 연루된 청년 내부고발자 크리스토퍼 와일리(28)와의 인터뷰 내용을 보도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그에 따르면, 문제의 기업인 데이터분석업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는 5000만명 이상의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빼내 이를 토대로 2016년 미국 대선을 포함한 미국 선거에 영향을 끼쳤다.
가디언에 따르면, CA는 ‘thisisyourdigitallife’라는 성격검사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페이스북 규정을 위반하고 허가 없이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도용했다. 이 앱을 설치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모두 CA에 고스란히 흘러들어 갔으며, 모두 27만여 명이 이 앱을 다운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데이미언 콜린스 영국 하원 디지털·문화·언론·스포츠위원회 위원장은 저커버그나 페이스북 고위관계자를 불러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보고 규정과 이번 유출 사태와 관련한 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에이미 클로부커 미국 상원의원은 저커버그를 소환해 “선거를 조작하고 정치적 광고를 펼치기 위해 데이터를 조작하는 부분에서 페이스북이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었는지 해명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 하원 정보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아담 시프 하원의원은 “페이스북은 개인정보가 어떻게 러시아와 연계된 교수의 손에 넘겨졌는지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번 페이스북 개인정보를 빼내는 데 쓰인 앱은 케임브리지 대학에 재직 중인 알렉산드르 코건이라는 러시아계 미국인 교수가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은 미 대선 당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당선을 막기 위한 러시아측의 미국 내 여론 선동 도구로 활용됐다는 의혹을 받는 등 러시아 스캔들에 휘말리며 곤욕을 치러왔다.
앞서 전날에는 매사츄세츠주와 펜실베이니아주 법무장관이 페이스북과 CA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여러 논란에도 처벌 피해갔던 페이스북…이번엔 수십억달러 벌금 위기에
가디언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그동안 숱한 개인정보 유출과 여론 조작 논란에도 처벌을 피해갔던 페이스북이 이번 사태로 더 강력한 규제와 벌금 위기에 놓였다고 보도했다.
WP는 데이비드 블라덱 미 연방거래위원회(FTC) 전 소비자보호원 국장을 인용해 “FTC가 이번 사건을 조사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블라덱 전 국장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2011년 FTC와 맺은 개인정보 보호 관련 협약을 위반할 경우 수십억달러의 벌금을 치러야 할 수도 있다. 규정에 따르면 소셜미디어가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위반할 경우 한 건 당 4만달러의 벌금을 내야 한다.
페이스북은 2011년 FTC와 맺은 협약에 따라, 페이스북이 이용자의 개인정보 설정을 변경할 경우 사전에 허락을 받아야 하며, 광고주와 같은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할 경우 그 정도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이에 대해 20년간 제3자의 독립기구로부터 감시를 받게 됐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벌금을 내야 한다.
페이스북은 FTC와의 협약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스캔들에 연루된 이후 이미지 회복을 위해 애써온 페이스북이 이번 이슈로 정치권과 사법당국의 조사를 직면함에 따라 당국의 관심을 피해갈 수 없게 됐다고 WP는 관측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섬속의 섬’ 제주 우도, 전세버스·전기 렌터카 운행 허용한다
- MLB 홈런 1위 칼 롤리, MLB 올스타 홈런 더비도 우승
- 美, 엔비디아 H20 칩 中 판매 승인 재개...수출 제한 3개월만
- [속보] 안규백 “이재명 정부 임기 중 전작권 전환 목표”
- 안규백 ‘방위병 8개월 추가 복무 의혹’에 “병무 행정 착오”
- 대한상의 “황당하고 낡은 규제 54건 개선해야”
- 구글, 월 구독료 8500원 ‘유튜브 프리미엄 라이트’ 출시하기로
- 올해 홍역 환자 작년의 1.4배... 베트남 등 해외여행 주의
- 강선우 “존경하는 의원님”에 한지아 “저 말고 보좌진을 존중하세요”
- 무인기 침투 직후… 軍, 김용현 전 장관 명의로 격려금 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