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10년 6개월 만 한미 금리역전..가열되는 '제2의 외환위기' 가능성은

2018. 3. 19. 09: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일부터 시작되는 3월 Fed 회의에서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는데요. 이럼에 따라 한국과 미국 간 금리인상이 역적된 경우 자금이탈에 따라 제2의 외환위기가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논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과연 한국과 미국 간 금리가 역전될 경우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내일부터 시작될 3월 Fed 회의를 앞두고 국내에서는 대규모 외국자금 이탈과 제2 외환위기 논쟁이 가열되고 있지 않습니까?

-내일부터 양일 간 파월 주재 첫 Fed 회의

-인상 확실, 10년 6개월 만 한미 금리역전

-정책금리, 미국 1.5-1.75% vs 한국 1.5%

-대규모 외국자금 이탈, 제2 외환위기 논쟁

-한국은행,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필요

정책금리 변경에 주무부서인 한국은행의 입장은 다른 것으로 보이는데요. 현재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까?

-한미 금리역전, 외국자금 이탈 가능성 적어

-제2 외환위기 가능성, 더 희박하다는 입장

-오히려 원화표시 채권시장에 외국인 유입

-기재부와 한은, 외환시장 개입 여부 발표

-환시 투명성 제고, 미국 환율보고서 대응

Fed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우리 내부에서 제2의 외환위기 논쟁이 일어나는 것은 결국은 테이퍼 텐트럼 문제이지 않습니까?

-테이퍼 텐트럼(TT)은 원래는 의학 용어

-시합 앞두고 운동량 줄일 때 불안감

-버냉키 전의장 출구전략 언급 이후 유행

-13년, JP 모건의 구F5 중심 금융시장 대혼란

-15년 골드막삭스, 금리인상 앞두고 신F5국 발표

당시에 구취약 5개국과 신취약 5개국에 어떤 국가가 포함돼 있었나를 보면 제2의 외환위기 논쟁이 일어나는 우리나라에 많이 시사점을 던져주지 않겠습니까?

-구F5국 발표 후, 금융시장 많이 흔들려

-구F5국=인도+인니+남아공+터키+브라질

-신F5국, 금리인상 전후 금융시장 불안

-신F5국=멕시코+인니+남아공+터키+콜롬비아

-구F5와 신F5, 우려했던 외환위기 미발생

당시 JP 모건이나 골드만삭스는 어떤 기준으로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취약 5개국을 산정하는 것입니까?

-외자이탈방안 중 외환보유가 최선책

-JP 모건, 외환보유고 상환계수 판정

-외환÷(경상적자+단기차입+외자회수)

-모리스 골드스타인 위기판단지표 비슷

-총 4단계로 4등급 판정시 ‘F5’로 분류

JP 모건이나 골드만삭스의 평가기준으로 볼 때 한미 간 금리가 역전될 경우 테이테 텐트럼이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나옵니까?

-적정외환보유는 IMF, 기도티 캡티윤 방식

-세 방식 적정외환보유 추정액보다 많아

-올해 경상수지흑자액도 800억달러 넘어

-13년, 15년 평가시 한국, 1등급 모두 받아

-제2 외환위기 위기설, 전형적인 ‘인포데믹’

다음달 정례 평가를 앞두고 있는 3대 평가사들은 현재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까?

-유동성 위험, ‘외화 유동성’과 ‘재정건전도‘

-한국처럼 외환위기국, 외화유동성 더 중시

-한국 외환보유고, 1선과 2선 포함 5100억$

-3대 평가사, 한국 적정외환보유 3600$ 내외

-한국, 대규모 자금이탈과 환투기 소지 희박

-한반도 지정학적 위험 완화시 상향 조정 높아

제2 외환위기 가능성이 없다면 한미 간 금리역전시 원·달러 환율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올해 1월 4일 방송했던 원·달러 전망 참조

-원·달러, 3년 동안 1150원 중심 상하 50원

-적정환율수준 하향, 1150원에서 1100원으로

-빠르면 2Q 이후 국제적인 달러 가치 수렴

-작년 4Q부터 제시됐던 1000원 붕괴확률 희박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