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생존학생 26%, 2년간 '외상후 스트레스' 시달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때 생존한 학생 상당수가 20개월이 지나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5일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과 김은지 마음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전 단원고 스쿨닥터)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20개월째인 2015년 12월 기준 단원고등학교 생존학생 57명(남 29명·여 28명)의 PTSD 정도를 분석한 결과 26.3%가 임상적 위험군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많은 수가 일상으로 돌아갔다고 보기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때 생존한 학생 상당수가 20개월이 지나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5일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과 김은지 마음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전 단원고 스쿨닥터)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20개월째인 2015년 12월 기준 단원고등학교 생존학생 57명(남 29명·여 28명)의 PTSD 정도를 분석한 결과 26.3%가 임상적 위험군이었다.
당시 세월호에서 구조된 단원고 학생은 75명 중 유효한 설문지를 제출한 57명만 최종 분석한 결과다.
즉, 세월호에서 구조된 단원고 학생 4명 중 1명은 사건 발생 20개월이 지나도록 임상적으로 진단될만한 수준의 PTSD에 시달리고 있다는 뜻이다.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근호에 실렸다.
김 원장은 "대개 사고 후 2년 가까이 지났으니 이제 괜찮아지지 않았겠냐고 생각하지만 그 당시 기준으로 적지 않은 아이들이 PTSD에 시달렸다"며 "이같은 결과로 보아 약 48개월이 지난 지금도 많은 수가 일상으로 완벽히 돌아갔을 것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가 향후 재난 피해자에 대한 정서적 지원이 더욱 장기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이유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원장에 따르면 설문조사에서 PTSD 양성으로 나온 아이들은 배는 물론 비행기나 버스, 지하철 등을 회피하거나 친구를 잃은 경험 때문에 새로운 관계 형성을 두려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잠들기 전 갑자기 당시 상황이 떠올라 멍한 상태가 되거나, 신체가 과하게 각성한 상태를 유지해 작은 자극에도 예민해지는 등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가족들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받는 가족응집력이 강하거나 사회적 지지가 충분하다고 느끼는 경우, 적절한 정신과 진료를 받으면 PTSD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반면 세월호 사고 전 다른 트라우마 경험했거나 사고 당시 충격으로 순간 먹먹해지는 '해리 현상'을 겪은 경우, 사고 후 부정적 신념 등이 PTSD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조사됐다.
제1 저자인 이 과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PTSD 극복을 위해서는 가족은 물론 사회에서도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세월호 사고뿐 아니라 앞으로 큰 재난이 발생했을 때 우리가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jandi@yna.co.kr
- ☞ 빙속 김보름, 어머니와 동반 입원…심리충격 치료
- ☞ 질문하는 동료기자에 눈흘긴 '그녀' 영상 인기폭발
- ☞ 평창 기대주였던 모굴 최재우, 음주·추행으로 영구제명
- ☞ MB 입장문에 써놓고 안읽은 문장 '카메라 포착'
- ☞ 미술관서 나체로 감상하고 알몸 식사하는 사람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사귀자며 20대 여성 부모 돈 100억원 가로채…징역 20년 | 연합뉴스
- 3번째 음주운전 '장군의 아들' 박상민 2심도 징역형 집행유예 | 연합뉴스
- '이연복 국밥', 세균수 기준 부적합 판정…판매 중단·회수 | 연합뉴스
- "1만원 줄게" 하굣길 초등생 꾀어 데려가려 한 70대 검찰 송치 | 연합뉴스
- [팩트체크] '대프리카'는 이제 옛말…한국에서 가장 더운 곳은 어딜까 | 연합뉴스
- 100세에 마라톤 완주하고 뺑소니 사고로 114세에 눈감다 | 연합뉴스
- 생후 3개월 딸 100만원에 팔아넘긴 친모, 항소심도 징역 1년 | 연합뉴스
- 무기 지원은 '멜라니아 요원' 덕?…美영부인에 우크라 환호 | 연합뉴스
- 제주 고교생 카페 여성화장실서 몰카…휴대전화에 동영상 여러개(종합) | 연합뉴스
- '폼페이의 저주' 통했나…나치 약탈 모자이크 80년만의 귀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