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출산기계 아니다"..여가부, 저출산 정책 '제동'
[앵커]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대한 여러 대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성가족부가 이 저출산 대책을 근본적으로 재고하라는 권고안을 내놨습니다. 지금의 정책은 여성을 아이를 낳고 인구를 늘리는 수단으로만 본다는 겁니다.
어환희 기자입니다.
[기자]
2016년말, 당시 행정자치부는 출산 지도를 만들어 온라인에 공개했습니다.
지역별 가임기 여성 비율을 색깔로 구분해 나타낸 것입니다.
당장 여성을 아이 낳는 기계로 본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 관련 리포트
"애 낳는 도구냐"…가임여성 수 '출산지도'에 비난 빗발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996/NB11388996.html
[무서워서 애 낳겠느냐! 노예 생산 거부한다!]
출산지도 뿐 아니라 저출산 대책 대부분이 여성을 인구 늘리는 대상이나 수단으로 전락시킨다는 것이 여성가족부의 진단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출산율 목표입니다.
현행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핵심 목표는 합계출산율을 1.5명으로 올리는 것입니다.
중간 평가지표로 임신 유지율 등의 수치가 난무합니다.
어디에서도 여성들의 건강과 삶에 대한 고려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표선희/서울 망원동 : 숫자가 낮다고 그걸 높이자고 무조건 저희에게 강요한다는 그런 건 별로 좋지 않은 것 같고… ]
동거 남편의 육아휴직을 허용하지 않는 등 법적으로 결혼한 부부만 지원하는 것도 정비 대상으로 꼽혔습니다.
[안은주/서울 구의동 : 출산을 떠나서 비혼주의도 많기 때문에… 법적으로 테두리 안에서 보호받을 수 있게 변해야…]
여가부는 저출산 대책에서 출산율 등 수치목표를 없애고 비혼 출산 지원을 강화해 대책을 다시 짤 것을 권고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해 출생아 '역대 최저'..30대 초반 여성 출산율 '뚝' 초저출산 언제까지.."가까운 미래 반등 가능성 없다" "사람에 대한 투자 늘려야..교육·복지·문화정책 강화 필요" 미혼남녀 10명 중 2명 "아이 낳지 않겠다"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