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 여성 전무..기초단체장 '다양성' 앞서

2018. 3. 6. 03: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95년 민선자치 이후 치러진 역대 지방선거를 분석한 결과 '50대 고학력 남성'의 인기가 높았다.

이마저도 기초단체장에 쏠린 것으로 여성 광역단체장은 한 명도 없었다.

기업인 등 산업계 출신 단체장은 광역단체장에선 1명도 없었지만 기초단체장에서는 10.4%를 차지하는 등 차이를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선자치 시행 이후.. 역대 지방선거 6회 분석

[서울신문]‘50대 고학력 남성’ 선호도 높아
기초단체 성별·학력·연령 골고루
광역 정치인·기초는 행정가 우세

1995년 민선자치 이후 치러진 역대 지방선거를 분석한 결과 ‘50대 고학력 남성’의 인기가 높았다. 광역자치단체장보다는 기초자치단체장들의 사회적 배경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지방자치학회보에 실린 권경득 외 연구 ‘한국 지방자치단체장의 사회적 배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1995~2014년 치러진 여섯 번의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1474명(광역 96명·기초 1378명)의 자치단체장 가운데 여성은 20명(1.4%)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기초단체장에 쏠린 것으로 여성 광역단체장은 한 명도 없었다.

기초단체장 중 여성 비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1995년 1명(0.4%), 2002년 1명(0.4%)에 그쳤지만, 2006년 3명(1.3%)에서 2010년 6명(2.6%)으로, 지난 지방선거에선 9명(4%)까지 늘었다. 최초 여성 단체장은 1994년 관선 광명시장을 거쳐 이듬해 선거에서 광명시장에 당선된 전재희(69)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두드러졌다. 광역단체장 96명 중 50대에 당선된 인원은 53명(55.2%)이다. 60대 이상은 34명(35.4%)으로 50대 이상이 절대 다수다. 제2~3회 지방선거(1998년·2002년)에선 50대 미만 광역단체장은 1명도 나오지 않았다. 자치단체장 후보는 만 25세 이상이면 가능하다.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여전히 50대 이상이 강세다. 전체 기초단체장 1378명 중 50대가 49.1%, 60대 이상이 35.6%를 차지했다. 다만, 광역단체장보다는 연령 폭이 다양했다. 40대 비율도 14.2%로 광역단체장(9.4%)보다 많았고, 광역단체장 중엔 없었던 30대 당선자 비율도 1.1%나 됐다.

단체장 대다수는 대졸 이상 고학력자였다. 광역단체장 중에선 대학원 이상 학위소지자(51.0%)가 대졸자(47.9%)보다 많았다. 육군사관학교 20기로 입교했다가 중퇴하고 이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경제학과를 수료한 신구범(76) 전 제주도지사를 제외하면 역대 광역단체장 중 고졸자는 한 명도 없었다. 기초단체장 중에서도 대졸 이상이 82.3%로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고졸 이하 당선자가 17.4%, 초·중졸 당선자도 3.7%였다.

당선자들 직업도 정치인 또는 행정공무원에 편중됐다. 광역단체장 절반은 정치인 출신이었다. 행정공무원 비율은 37.5%였다. 기초단체장은 행정가 출신이 43.3%로 정치인(29.7%)보다 많았다. 기업인 등 산업계 출신 단체장은 광역단체장에선 1명도 없었지만 기초단체장에서는 10.4%를 차지하는 등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과거 중년 남성 엘리트 중심으로 구성된 정치 구조가 이런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최근 여권 신장 등 달라진 사회적 분위기가 이번 지방선거에서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권경득 선문대 글로벌행정학과 교수는 “최근 양성평등·젠더 등의 구호로 사회 분위기가 바뀌어 여성의 정치참여 통로가 넓어졌다”면서 “기초단체의 생활자치 측면에서 여성 단체장의 성공 사례가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