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다닌 회사 부도로 퇴직금 못받고 안전하다며 굳이 나간 새 직장에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일 부산 해운대 엘시티(LCT) 공사 현장 추락 사고로 숨진 남모 씨(37). 그는 이곳에서 일하기 전 경남 창원시의 한 배관 시공업체에서 공정 관리 과장으로 일했다.
4일 부산 해운대백병원에서 만난 남 씨 유족은 "딸을 너무도 사랑했던 자상한 아빠였다. 아이에겐 아빠가 아파 누워있다고 둘러댔는데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오열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찰, 외벽 고정 지지물 이탈 확인
[동아일보]
그는 동갑내기 아내와 일곱 살배기 딸을 둔 가장이었다. 4일 부산 해운대백병원에서 만난 남 씨 유족은 “딸을 너무도 사랑했던 자상한 아빠였다. 아이에겐 아빠가 아파 누워있다고 둘러댔는데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오열했다.
남 씨가 지난해 직장을 잃자 가족들은 조급해하던 남 씨에게 “실업급여라도 받으며 원하는 직장을 천천히 찾아보라”고 다독였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낯선 일을 택했다. 유족은 “워낙 책임감이 강해 집에서 쉬면 가족이 걱정할까봐 서둘렀던 것 같다”고 말했다. 남 씨는 수년간 뇌중풍으로 거동이 불편한 홀어머니도 경제적으로 도와야 하는 처지였다. 유족은 “이렇게 높은 곳에서 위험한 일을 하는 줄 알았으면 말렸을 텐데…”라며 울먹였다. 유족들은 포스코건설에 남 씨 딸의 학비 지원을 가장 중요한 보상 조건으로 제시했고, 현재 협의가 진행 중이다.
부산 해운대경찰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3, 4일 사고 현장에 대한 정밀 감식을 실시해 숨진 근로자들이 들어가 작업했던 안전발판구조물(SWC)을 외벽에 고정시키던 슈브래킷 4개와 앵커 1개가 벽에서 떨어져 나간 사실을 확인했다. 슈브래킷은 볼트를 통해 외벽 구멍에 박힌 철제 구조물인 앵커와 결합해 구조물 밑바닥에 부착하는 역삼각형 모양의 지지대다. 경찰 관계자는 “54층에서 작업을 마친 구조물을 위층으로 올리는 과정에서 외벽에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고정 장치가 이탈한 이유가 부품의 자체 결함 때문인지 부실시공 탓인지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안전 관리에서도 허점이 드러났다. 경찰은 사고 당일 구조물을 끌어올리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하청업체 관계자의 진술을 확보했다. 포스코건설도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며 유족에게 사과했다. 포스코건설은 엘시티 공사장에서 2016년과 지난해 안전교육 미실시 등을 이유로 부산지방고용노동청으로부터 두 차례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안전불감증이 사고를 부른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부산=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핫한 경제 이슈와 재테크 방법 총집결(클릭!)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평양서 김정은과 면담후, 트럼프-시진핑도 만난다
- 대북특사단 오늘 특별기로 1박2일 방북.."북미대화 논의"
- 정의용·서훈 北방문 후 방미 예정..美 설득할까 주목
- 대북특사단 5인 면면은..대미·대북 베테랑·文대통령복심
- 대북특사 방북, 서해 직항로도 열린다..한달만에 특사 교환
- "영미 영미~".. '팀 킴'의 마법, 우리가 이어받는다
- 반다비는 '곰두리'의 후예?..패럴림픽 마스코트의 매력 포인트
- 평창동계패럴림픽 알쓸신잡..北 최초 출전 장애인 선수는?
- 박영수 특검팀 종료 1년..주역들은 지금 어디에
- '긴급체포'에 '압수수색'까지..내부 향한 檢칼날 어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