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오르는건 내 월급 뿐"..최저임금발 가격 인상 전방위 확산

함종선 2018. 3. 4. 17: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가격 인상이 도미노식으로 확산하면서 생활 물가 전반이 들썩이고 있다. 짜장면 등 음식값에서부터 면봉 등의 생필품 가격까지 줄줄이 오르고, 당구장 비용 등의 취미생활 비용까지 상승하고 있다.

오름세가 가장 두드러진 건 음식값이다. 외식업체의 원가 중 인건비 비중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식 프랜차이즈 홍콩반점은 이달 1일 주요 음식의 가격을 올렸다. 짬뽕은 4500원에서 5500원으로 올렸고, 짜장면은 4000원에서 4500원으로 인상했다. 탕수육(소 사이즈)도 9500원에서 1만1000원으로 올렸다.

우동 프랜차이즈인 역전우동도 1일부터 대표메뉴인 옛날우동의 가격을 3000원에서 3500원으로 올렸다. 홍콩반점과 역전우동 등 17개 외식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더본코리아의 김원경 마케팅팀 과장은 “음식값을 올려야 한다는 가맹점주들의 요구가 워낙 많아 다른 브랜드의 음식값 인상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에서 더본코리아의 외식 프랜차이즈 중 하나를 운영하는 김모(46) 사장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직원 5명의 인건비가 한 달에 1인당 25만원 올랐고, 이들의 4대 보험과 퇴직금 인상분까지 고려하면 한 달에 총 150만원가량의 인건비가 올라간 셈”이라며 “음식값을 올리지 않으면 도저히 수지를 맞출 수 없다”고 말했다.삼겹살 프랜차이즈로 인기가 높은 하남돼지집도 최근 전국 200여 개 점포 중 30여 개 점포의 고기 메뉴 가격을 1000원 올렸다.

가공식품과 생활필수품의 가격도 오르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이달 1일부터 햇반·스팸·비비고만두·어묵 등의 가격을 6~9% 인상했다. 햇반(210g)은 1400원에서 1500원으로 7.1% 올랐다.

농심도 생수 브랜드인 백산수의 출고가격을 평균 7.8% 올랐다. 농심이 2012년 백산수를 출시한 이후 처음으로 가격을 올린 것이다. 코카콜라음료도 지난달부터 콜라 등 17개 품목의 출고가를 평균 4.8% 인상했다.

편의점 GS25는 이달부터 나무젓가락·종이컵·면봉 같은 자체브랜드(PB) 비식품 상품 60여 개의 가격도 100~200원 올렸다.

가격 인상은 생활 물가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전업주부 김승연(41)씨는 ”아들 태권도 학원 비용이 16만원에서 이번 주에 17만원으로 올랐고 인건비 때문인지 아파트 기본 관리비도 많이 상승했다 “고 말했다.

중견회사 재무팀 차장인 남태수(43)씨는 “자주 가는 당구장이 최근 이용료를 10분당 1700원에서 1900원으로 올렸고, 단골 목욕탕 값도 6000원에서 7000원으로 1000원 올랐다”고 전했다.

일자리와 소비가 줄어드는 ‘최저임금 인상의 역습’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일자리 감소는 무인시스템 확산과 바로 연결되는데 최근 들어 임금 감당이 어려운 고용주가 대체재(무인화)를 찾는 경우가 늘고 있다.

경기도 화성시의 리베라CC는 최근 그늘집(라운드 중간에 음료나 간식을 먹을 수 있는 휴식공간)을 무인운영체제로 바꿨다. 뷔페식 레스토랑인 애슐리는 최근 일부 점포에 셀프서비스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보통 뷔페에서는 종업원들이 손님의 식사 접시를 식사 중간마다 치우지만 셀프서비스 점포에서는 손님이 식사 전후에 식기와 집기, 종이 매트 등을 직접 챙겨야 한다.

소비를 줄이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중소기업 직원인 강연수(38)씨는 “여자 동료 2명과 함께 매주 월·수·금 3일은 도시락을 싸 와 점심때 먹기로 했다”며 “최근 음식값이 오른 영향이 크다”고 했다. 전업주부 김은수(43)씨는 “이것저것 나가는 돈의 규모가 커져 이달부터 주말 가족 외식은 포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발 후폭풍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2020년 최저임금 1만원’을 위해선 내년과 후년에도 올해 인상률(16.4%)만큼 올라야 하기 때문이다. 올해 최저임금은 7530원이다.김동수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부회장은 “최저임금이 계속 오르는 한 음식 가격 인상의 악순환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에서 일식 프랜차이즈 점포를 운영하는 이모(50) 사장은 “지난해 3만7000원 하던 20kg 쌀이 4만2000원으로 오르는 등 재료비가 껑충 뛰고, 임대료도 2년마다 올라간다. 이런 마당에 인건비까지 계속 올려줘야 한다니 앞이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홈페이지에 게시한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은 전반적으로 소비를 확대해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겠지만 추가적인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은 신중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IMF는 “최저임금이 또다시 급격히 오르면 최저임금이 평균 임금에 근접하게 돼 한국의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상승분만큼 판매 상품의 가격을 올리지 못하는 자영업자는 일자리 줄이기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런 현상은 현 정부의 최대 목표인 일자리 늘리기에 역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오른 최저임금은 어쩔 수 없지만 최저임금 1만원 달성 공약은 포기하는 게 후폭풍을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함종선 기자 jsha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