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레카] '번역청 설립' 국민청원 / 최원형

입력 2018. 2. 13. 23: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7일, 청와대 누리집 게시판에 올라와 있던 한 국민청원이 한달 동안의 기한을 맞아 종료됐다.

청원을 제기한 박상익 우석대 교수(역사교육)는 <번역청을 설립하라> (유유)는 책도 펴냈는데, 앞뒤 표지에 국민청원 내용 전문을 실었다.

때문에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국민청원은 '제대로 된 학술정책을 마련하라'는 요구와 일맥상통한다.

'번역청 설립' 국민청원은, 촛불로 탄생한 정부가 제대로 된 학술정책의 밑그림을 제시해야 한다고 정면으로 지목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지난 7일, 청와대 누리집 게시판에 올라와 있던 한 국민청원이 한달 동안의 기한을 맞아 종료됐다. 제목은 ‘번역청을 설립하라’. 청원을 제기한 박상익 우석대 교수(역사교육)는 <번역청을 설립하라>(유유)는 책도 펴냈는데, 앞뒤 표지에 국민청원 내용 전문을 실었다.

전세계의 정보와 지식을 우리 말글로 옮기는 것은 도로, 항만, 철도, 통신 등 사회간접자본과 같은 것이며, 이를 시장에 맡겨둬선 안 되니 나라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지원해야 한다는 게 박 교수의 핵심 주장이다. 애초 20만명의 참여를 기대했지만, 애석하게도 청원 종료 시점의 참여 인원은 1만명도 채 못 되는 9417명에 그쳤다.

박 교수의 비유대로 번역은 인문학의 ‘뿌리’를 튼튼하게 만드는 작업이다. 때문에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국민청원은 ‘제대로 된 학술정책을 마련하라’는 요구와 일맥상통한다. 조선시대 세종과 정조는 각각 집현전과 규장각을 통해 국가가 주도하는 학술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범적인 선례를 보였다. 그러나 권력자들은 교육과 학문을 통제의 대상 또는 지배의 도구로 삼았을 뿐 학술정책에는 무관심했다. 신자유주의의 거센 물결은 여기에 시장의 논리까지 들여왔다. 열악한 번역 인프라뿐 아니라, 인문·사회 분야에 대한 쥐꼬리만한 지원, 생계마저 불확실한 비정규직 연구자들의 양산, 논문 게재 실적에만 목매는 대학 등 오늘날 피폐한 현실은 학술정책의 오랜 부재가 낳은 필연적인 결과들이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누가 무엇을 할 수 있느냐다. 고등교육을 책임진다는 교육부와 대학에 무언가를 기대하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다. ‘번역청 설립’ 국민청원은, 촛불로 탄생한 정부가 제대로 된 학술정책의 밑그림을 제시해야 한다고 정면으로 지목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청와대는 과연 어떤 답변을 내놓을 것인가? 최원형 책지성팀 기자 circle@hani.co.kr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국민청원에는 애초 목표였던 20만명에 훨씬 못 미치는 9000여명만이 참여했으나,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 청와대 누리집 갈무리.
박상익 교수가 쓴 ‘번역청을 설립하라’ 책 표지.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