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 마이크로소프트(MS)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신원 확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과거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은 값비싼 비용과 확장성의 한계로 인해 부정적 평가를 받아왔다.
MS 측은 "분산화된 저장 시스템과 합의 프로토콜, 블록체인 등을 검토한 결과 우리는 블록체인 기술과 프로토콜이 DID를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시스템 없이 개인이 개인정보 통제권 보유
|
12일 미국의 경제매체 포브스는 MS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을 기반으로 한 퍼블릭 블록체인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MS는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 탈중앙화 신원 확인 시스템(DID·Decentralized IDs)를 마이크로소프트 인증앱(Microsoft Authenticator App)에 적용할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DID는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명성과 신원에 대해 완전한 통제권을 가진다.
과거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은 값비싼 비용과 확장성의 한계로 인해 부정적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중 계층 시스템(two layer system)을 통해 상호작용에 이용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MS 측은 “분산화된 저장 시스템과 합의 프로토콜, 블록체인 등을 검토한 결과 우리는 블록체인 기술과 프로토콜이 DID를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원재연 인턴기자 wonjaeyeon@decenter.kr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블록체인 기술로 자금이체 해보니.."속도·복구 Bad, 보안은 Good"
- 싱가포르통화청 "블록체인 프로젝트 '우빈' 2년 뒤 활용 가능"
- 라온시큐어, 옐로모바일 계열 더루프와 블록체인 기반 생체인증 공동개발에 ↑
- 라온시큐어, '더루프'와 블록체인 기반 생체인증 시스템 개발 공동협력
- 블록체인으로 청정에너지를 사고 팔 수 있을까?
- "형이 왜 거기서 나와?" 평창을 찾은 '의외의' 스타들
- "군산공장 전격 폐쇄" GM의 엄청난 그 노림수 혹시?
- 돌아온 삼지연관현악단 만난 北김정은 던진 '첫마디'
- "맥도날드 먹고 '햄버거병' 걸렸다" 사건 끝내 이렇게
- 법원 "삼성의 승마 지원, 박근혜·최순실 공모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