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산케이, 가짜뉴스 들통나 망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익 성향의 일본 산케이신문이 일본인 남성을 구한 오키나와(沖繩) 주둔 미군 해병대원의 미담을 보도했다가 '가짜 뉴스'로 밝혀져 기사를 취소하고 사과했다.
같은 기사에서 산케이는 오키나와 양대 신문인 오키나와타임스와 류큐신보가 사고 당일 있었던 미 군속의 일본인 여성 살해 사건 1심 판결은 크게 보도하면서도 해병대원의 미담은 무시했다며 비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
오키나와 주둔 미군 해병대의 일본인 구출 소식을 전한 지난해 12월 12일자 산케이신문 기사. ‘일본인 구한 미군 병사. 오키나와 두 신문은 묵살’ 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반(反)미군 으로 물든 지역 미디어가 (미군의 선행)을 묵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구출 뉴스는 가짜뉴스로 밝혀졌다. |
주일미군 기지 4분의 3이 집중된 오키나와현 고속도로에서 6중 추돌사고가 발생한 것은 지난해 12월 1일. 사망자는 없었지만 미 해병대 상사가 의식불명으로 중태에 빠졌다.
산케이는 사고 발생 8일 뒤인 그달 9일 인터넷판 기사에서 미군 상사의 실명을 밝히고 “옆으로 쓰러진 차에서 50대 일본인 남성을 구한 후 뒤에서 오던 차에 치였다”고 보도했다. 산케이는 “차가 시속 100km로 달리는 고속도로 노상에 내려서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가. 그런 위험을 무릅쓰고 ‘누구도 뒤에 남겨두지 않는다(Leave no man behind)’는 미 해병대의 규범을 관철한 대원의 용감한 행동”이라고 극찬했다.
같은 기사에서 산케이는 오키나와 양대 신문인 오키나와타임스와 류큐신보가 사고 당일 있었던 미 군속의 일본인 여성 살해 사건 1심 판결은 크게 보도하면서도 해병대원의 미담은 무시했다며 비판했다. 산케이는 “미군 반대 일색으로 물든 오키나와 미디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한 뒤 “보도하지 않을 자유를 이유로 계속 무시한다면 보도기관을 자칭할 자격이 없다. 일본인으로서 수치”라고 막말을 퍼부었다. 같은 달 12일에는 신문 지면에도 이런 내용을 보도했다. 산케이 보도 이후 오키나와 두 신문에는 전화와 e메일 등을 통해 항의가 쏟아졌다. 산케이 논조는 보수 매체인 요미우리신문보다 훨씬 오른쪽에 위치해 있어 일본 우익들이 즐겨 본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산케이가 주장한 특종 보도는 가짜 뉴스로 판명 났다. 류큐신보는 지난달 30일 “미 해병대는 해당 상사가 구조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며 “오키나와 경찰도 구조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라고 보도하며 대반격에 나섰다. 이 신문은 취재를 통해 산케이 기자가 경찰 교통기동대를 한 번도 취재하지 않은 채 기사를 쓴 사실도 밝혀냈다.
|
자체 조사를 진행해온 산케이는 결국 8일자 1면에 사과문을 싣고 해병대 미담 보도가 가짜 뉴스였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미군에 의해 구조됐다고 보도된 일본인 남성마저 대리인을 통해 “부딪친 차의 일본인 운전자가 조수석 문을 열어줘 자력으로 탈출했다. 미군에게 구조된 기억은 없다”고 밝히자 더 이상 버티기가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사과문은 “취재가 불충분했으며 두 신문에 대한 비판도 지나쳤다. 관계자와 두 신문, 독자에게 깊이 사과한다”고 밝혔다. 기사를 쓴 오키나와 지국장에 대한 징계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국장은 기사를 쓸 때 인터넷에 떠도는 소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참고했으며, 여기에 미 해병대의 잘못된 초기 보고를 그대로 믿고 기사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케이는 그동안 혐한성 기사를 다수 게재하면서도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핫한 경제 이슈와 재테크 방법 총집결(클릭!)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평화냐 위기냐..한반도 운명 가를 '평창' 막 올랐다
- 시간-규모 줄였지만.. 美사정권 '화성 14,15형'으로 무력시위
- 평양에선 ICBM, 강릉에선 '평화'.. 北의 두 얼굴
- 개회식 최대 관심 성화 최종점화자는 김연아? 아니라면..
- 영화 '국가대표'의 그들, 27년 도전 인생 마지막 비행 나선다
- 창군 70년 대대적 홍보 예상 깨고 생중계도 안해..北 속내는?
- 굳은 표정의 北선수들, 응원단 연주 시작되자..
- 김여정, 개회식 참석후 서울 숙박.. 文대통령과 내일 靑오찬
- 마음에 안 드는 남성이 추근대면 성추행, 훈남이 접촉하면 구애?
- 유엔총회 의장 "군사적 분쟁 직전까지 간 한반도, 평창 '특별한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