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간 '부익부 빈인빅' 점입가경..가격격차 '사상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년 동안 서울 저가아파트가 평균 1935만원 오르는 동안 고가아파트는 1억6575만원이 뛴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같은 기간 1분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2억8115만원에서 3억50만원으로 1935만원 오를 때 5분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11억8035만원에서 13억4610만원으로 무려 1억6575만원이나 급등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서울 저가아파트가 평균 1935만원 오르는 동안 고가아파트는 1억6575만원이 뛴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강남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하면서, 아파트 간 '빈부격차'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셈이다.
4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부동산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당 아파트 매매가격 5분위 배율은 3.8배다. 이는 국민은행이 조사를 시작한 2016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전국 아파트를 가격 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의 평균값(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값(1분위 가격)으로 나눈 것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
|
/사진=연합뉴스 |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도 지난달 3.1배를 기록해 조사 이래 최고치였다. 서울은 지난해 1월 1분위 437.3만원, 5분위 1225.2만원으로 2.8배 수준이었으나 올해 1월에는 1분위 466.4만원, 5분위 1467.6만원으로 5분위 배율이 3.1배로 뛰었다. 실제 저가와 고가주택 가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1월 전국 1분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1억1805만원에서 올해 1월에는 1억1840만원으로 35만원 오르는 데 그쳤으나 전국 5분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같은 기간 5억5492만원에서 5억9971만원으로 4478만원이 올랐다.
서울에서도 같은 기간 1분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2억8115만원에서 3억50만원으로 1935만원 오를 때 5분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11억8035만원에서 13억4610만원으로 무려 1억6575만원이나 급등했다.
지난달에는 전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 단지 50곳의 시가총액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가구의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상위 50개 아파트 단지 시가총액을 지수화한 'KB 선도아파트 50지수'는 지난 1월 135.3으로 전월 대비 4.23포인트 올랐고, 1년 전보다는 21.15포인트 상승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 "남편에 죄송" 사과후 비난 쏟아져…왜?
- "아버지가 범인"…양평 주택화재 40대 부부 사망사건 '공소권없음'
- 김새론 편지 "김수현, 첫사랑이자 마지막 사랑"
- '아들만 다섯' 정주리 "여섯째 NO…남편 정관수술"
- 남편 전처랑 술친구…"집에서 자고 가기도"
- 강리나 "에로영화 많이 찍은 이유? 다른 사람과 생각 달랐다"
- "30대女, 번개 맞고 초록색 눈이 갈색으로 변했다"..믿기 어렵겠지만 흔한 일? [헬스톡]
- 조부모 집에서 실종된 손자, 9개월 만에 시신으로
- '에일리 남편' 최시훈 "호스트바 출신 루머에 다 무너져…억울"
- 아들 사망후 며느리 재혼…"남겨진 손자, 아들로 입양될까요?" 할머니의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