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집 이름이냐" "건배사 같다" 통합신당 이름 '골머리'

CBS노컷뉴스 유동근 기자 2018. 2. 2. 11: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신당 당명(黨名)을 놓고 양측이 물밑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대국민 공모를 통해 결정된 '바른국민'에 대해 "국민을 계도하는 듯하다"는 반론이 나온 가운데, '미래당'에 대해선 "특정인을 상징하는 이름이다"는 재반론까지 등장했다.

'미래당'을 지지하는 안 대표 측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바른국민'이 두 인물을 상징한다고 하나, 유권자에겐 '기호 3번'으로 충분하다"며 "굳이 과거 당명을 넣자면 '국민바른연대'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칫 갈등 흐를까, "安‧劉 결합 상징, 여론조사로 정하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가 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추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신당 당명(黨名)을 놓고 양측이 물밑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대국민 공모를 통해 결정된 '바른국민'에 대해 "국민을 계도하는 듯하다"는 반론이 나온 가운데, '미래당'에 대해선 "특정인을 상징하는 이름이다"는 재반론까지 등장했다.

양당의 통합추진위원회는 2일 오후 3차 통추위 회의를 열고, 당 이름으로 '미래당'과 '바른국민' 중 하나를 선택할 예정이다. 그러나 선호도가 팽팽히 갈려 있어 택일까지 논란이 불가피하다.

통추위는 당초 지난 1일 당명을 정할 예정이었다. 기획조정분과 위원장인 바른정당 오신환 의원은 '행복한 미래', '다함께 미래로', '미래당' 등을 후보로 추천했다. 대국민 당명 공모에서 1위를 차지한 '바른국민당'은 후보에서 제외된 채 보고됐다.

그러자 반발이 제기됐다. 1위를 차지한 당명을 제외할 것이면 대국민 공모는 왜 했느냐는 것이다. 통추위가 지난달 23~28일 진행한 공모에선 '바른국민당'에 이어 '바른국민의당', '국민정당' 등이 2~3위를 차지했다.

우여곡절 끝에 바른국민당도 후보에 올랐다. 그런데 이번엔 또 약칭이 '바국당'이 되는데 어감이 좋지 않다는 반론이 제기됐다. 결국 ‘바른국민’이 후보가 됐다.

이후 '바른국민', '행복한 미래', '다함께 미래로', '미래당' 등을 놓고 토론이 진행됐다. '행복한 미래'의 경우 드라마 제목 같다는 반론이, '다함께 미래로'는 건배사로 들린다는 의견들이 회의 참석자들 사이에서 오갔다.

'미래당'에 대해선 "빵집 이름으로 들린다"는 의견이 공개석상에서 제시돼 좌중이 잠시 웃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결국 표결 끝에 당명 후보로 '바른국민'과 '미래당' 등이 최종 후보로 추려졌다.

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가 참석한 통합추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두 당명에 대해선 안 대표와 유 대표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안 대표는 '미래당'을, 유 대표는 '바른국민'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국민'에 대해선 "바르지 않은 국민도 있나, 국민을 계도의 대상으로 여기는 듯한 오해를 살 수 있다"며 강한 반대론이 제기됐다. 반면 반대측은 "바른국민에는 유 대표와 안 대표의 이미지가 결합해 녹아 있으며, 기억하고 알리기 쉽다"며 추천하고 있다.

'미래당'에 대해서 역시 "안 대표만을 상징한다"며 강한 반감이 제기됐다. '미래'라는 단어의 출처가 지난해 12월 출범한 안 대표의 정책자문 그룹인 '싱크탱크 미래'에서 따왔다는 것이다.

국민의당 측에서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연상시킨다"는 반대론이 나왔다. 박 전 대통령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고, 재임 당시 정부 부처 이름으로 '미래창조과학부'를 쓰는 등 유독 '미래'를 선호했다는 지적이다.

회의석상에서와 달리 물밑에선 신경전이 거세지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미래당'을 지지하는 안 대표 측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바른국민'이 두 인물을 상징한다고 하나, 유권자에겐 '기호 3번'으로 충분하다"며 "굳이 과거 당명을 넣자면 '국민바른연대’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국민'이 앞에 등장하는 방식이다. 의석수가 더 많은 국민의당이 소수인 바른정당보다 뒤에 나오는 ‘바른국민’에 대한 반감이 읽히는 대목이다.

'바른국민'을 지지하는 유 대표 측도 반발하는 분위기다. "미래당처럼 특정 인사를 연상시키는 이름으로 결정될 경우 사당화(私黨化) 논란이 재연돼 초반 통합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고 경고했다.

자칫 첨예한 갈등양상으로 흐를 우려가 나오면서, "무엇이 두 당의 결합을 상징하는 당명으로 좋은지 여론조사로 결정하자"는 중재안도 제시됐다. 한 차례 더 신당(新黨)을 홍보할 기회도 된다는 것이다.

▶ 기자와 1:1 채팅

[CBS노컷뉴스 유동근 기자] dkyoo@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