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검사 둘러싼 '카더라 소문'..검찰 셀프조사 가능할까
<앵커>
그러면 이 내용 취재하고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서 지금까지의 내용 정리해보겠습니다.
류란 기자, (네, 서울중앙지검에 나와 있습니다.) 서 검사가 법률 대리인을 통해 2차 피해를 받고 있다고 말했는데 서 검사와 관련해 어떤 이야기가 돌고 있는 건가요?
<기자>
취재하다 보면 저도 "평소 서 검사의 업무능력과 태도가 좋지 않았다" 같은 검찰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각종 '카더라' 식 정보들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에 대해 서 검사는 저희 SBS 취재진에게 "자신을 향한 공격들을 모두 지켜보고 있다"며 "처음부터 예상했던 전형적인 대응"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는데요, 발 빠른 변호사 선임에서부터 보도자료 배포까지,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지금 돌아가는 양상을 보면 우리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는 여느 권력관계 간 성추행 사건과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피해자를 고립시키고 본질과 다른 사안을 언급하는 건데요, 이런 식의 대응이 사태를 악화시키기만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오늘(1일) 진상조사단이 출범하긴 했는데 지금까지 법무부나 검찰이 해온 것을 보면 스스로 하는 조사 이른바 '셀프조사'가 어떤 성과를 낼 수 있느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죠?
<기자>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이 전직 검찰 고위 간부인 데다 현직 국회의원, 전직 법무부 장관까지 조사 대상으로 언급되는 인물들의 면면으로 봤을 때 자체 조사가 가능하겠냐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런 와중에 법무부가 오늘 서 검사의 면담 요청 이메일 같은 아주 중요한 사실관계를 번복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믿고 맡겨달라"는 말만으로 외부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 의심의 눈초리가 많습니다.
<앵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각계에서 '미투' 움직임이 번지고 있다고요?
<기자>
네, 경기도의회 이효경 의원과 경찰대 출신의 임보영 뉴스타파 기자 등 각계에서 피해 사실을 고백하고 이번 사건의 진상조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서울동부지법 문유석 부장판사가 '앞으로 이런 일이 벌어졌을 때 나부터 먼저 막겠다는 '미 퍼스트 운동'을 제안하는 등 자성과 다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장진행 : 전경배,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박진훈)
▶ 서 검사 둘러싼 '카더라 소문'…검찰 셀프조사 가능할까
▶ 진실보다 조직 지키기 '급급'…가해자 단죄 않는 검찰
류란 기자peacemaker@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나도 당했다" 전직 여검사도 폭로..계속되는 파문
- 서지현 검사 "성추행 말할 수 없었던 이유에 주목해달라"
- 최교일 "당시 서지현 검사가 고심 끝 문제 제기 않기로 결정"
- [영상] 조희진 검찰 성추행 조사단장 "저도 여성 검사..최선 다해 규명"
- 서지현 검사 "부정적 소문은 2차 가해"..조사단 가동
- [단독] "MB, 다스 보고 직접 받았다"..검찰 "급소 찔렀다"
- 서지현 검사 외모 놓고 '막말 댓글'..대한민국은 멀었다
- 하반신 마비 아내 구하러 갔다가..불길에 숨진 부부
- "너 바보 만드는 건 일도 아냐"..검찰 내부에서 만류
- "한국♥" "한국인은 공짜"..베트남에 분 '박항서 열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