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 원인 유전자 '삼돌이'발견..정신질환 신약 개발 활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김철희 충남대 생물과학과 교수와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 국제공동연구팀이 자폐증에 관여하는 새로운 신경계 사이토카인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김철희 충남대 생물과학과 교수와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 국제공동연구팀이 자폐증에 관여하는 새로운 신경계 사이토카인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31일 밝혔다.
자폐증은 소아 때부터 진행하는 정신질환으로,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서번트 증후군, 발달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1997년 히라노 오사카대학 교수와 신경계 사이토카인 탐색 공동연구를 시작해 2006년 새로운 사이토카인을 발견하고 '삼돌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사이토카인은 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단백질을 말한다. 연구팀은 제브라피시와 생쥐에 유전자 가위 기술을 적용해 삼돌이 유전자가 억제된 동물을 2010년 국내 최초로 제작하고, 지난 10여 년 간 동물모델과 환자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후속연구를 진행해 삼돌이 유전자가 정신질환, 특히 자폐증의 핵심 인자임을 규명해냈다.
김철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새로운 신경계 사이토카인의 발견과 함께 유전자 가위 기술, 환자 유전체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자폐증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규명한 것"이라며 "앞으로 우울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조울증 등 정신질환 신약 개발의 분자 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
남도영기자 namdo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클릭하면 7∼8% 금리로 1500만원.. 2월부터 '온라인 햇살론'
- 자동차 수출 5분기만에 감소세.. 독일차 인기에 수입은 늘어
- 과기정통부, ITU 표준화회의 열고 한국 5G 기술 표준화 추진
- LG 반격에 실적 휘청 다이슨.. "청소기 성능평가 다시해라" 발끈
- 15.2km 경차급 연비..차세대 엔진 품는 기아차 '올 뉴 K3'
- 머스크 부탁 없었다는데…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테슬라엔 `호재`
- 국힘·반명, 李 무죄 판결 맹폭… 尹 탄핵 기각 기대도
- "올해는 어렵다"… 중소 손보사, 대형사 줄인하에도 車보험료 동결
- 변화 주문한 구광모 LG 회장, 사장단에 "절박감으로 과거 관성 떨쳐내야"
- 임금근로자, 평균대출만 약 5000만원… 30~40대 가장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