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잠자듯 편안한 죽음? 다 거짓말" 깨어난 그들
신성식.이에스더.정종훈 2018. 1. 31. 02:01
"가슴이 타는 듯이, 터질 듯이 아팠어요. 그 고통은 말로 표현하기가 힘드네요." 김정란(56ㆍ가명) 씨는 서럽게 울었다. 지난해 9월 20일 밤의 끔찍한 기억을 떠올리면서 울음을 그치지 못했다. 김 씨는 그날 밤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다. 몇달 전부터 죽음은 그림자처럼 그를 좇았다. 인터넷에서 찾은 방법대로 시도했다.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보니 편안하게 잠자듯 갈 수 있다고 해서 그럴 거라 생각했어요. 그런데 사실은 전혀 아니었던 거죠. 그리 아플 줄은 정말 몰랐어요."
한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5.6명(2016년 기준)이다. 2003년 이후 13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다. 2003~2016년 18만 5998명의 생명이 목숨을 끊었다. 같은 기간 저출산 현상 때문에 줄어든 신생아(8만 5868명)의 2.2배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조금이라도 늦출 수 있는 소중한 생명이 사라졌다.
김지연(25ㆍ가명) 씨의 '그 날'은 술로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아이돌 가수가 숨진 지 며칠 지난 뒤였다. 친구와 술을 마시고 귀가해서 목숨을 끊으려 했다. 술자리에서 “나 이제 못 살겠다”고 되뇌던 김 씨의 모습을 이상하게 여긴 친구가 때마침 전화를 걸었다. 정신을 잃어가는 와중에 자기도 모르게 “살려달라”고 비명을 질렀다. 숨을 쉴 수 없었고 구토가 계속됐다. 의식이 흐릿해진 가운데 토할 게 없는데도 멋질 않았다. 눈을 뜨니 응급실이었다.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어지러워 또 구토해야 했다.
"가족에게 충격을 안겨서 너무나 미안해요. 엄마만 보면 죄책감에 가슴이 울렁거려요. 빚진 거랑 백수 된 게 부끄러운 일이니까 남에게 이야기하기 어려웠죠. 너무 나쁜 생각만 했지 도움받을 생각은 전혀 못 했어요. 후회가 되는 거죠. 상담도 하고 도움을 받았으면 다른 결론을 내렸을 수도 있는데…."
이 씨는 미각세포가 망가졌다. 단맛을 제외하곤 다른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 초점이 안 맞아 땅바닥이 정확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 씨는 "이제는 그 짓 안 할 겁니다. 함부로 저 같은 행동을 하지 마세요. 끔찍해요"라고 경고했다.
2016년 자살 사망자는 1만3092명이다. 자살 시도자는 이의 10~40배, 즉 13만~52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 자살은 편견 덩어리다. 자살 시도자들이 말을 안 해서 그렇지 그들이 겪은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앙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다스 충돌 뒤, 文 "개막식 모셔라"..MB가 전한 말
- 빅터 차, 내정철회 4시간뒤..트럼프 '코피 전략' 맹비난
- '여검사 폭로 글' 등장 윤석열, 당시 어떤 위치였나
- "北정권 목격자" 트럼프가 언급한 탈북자 지성호는
- 2000만원 학비 뱉고 '검·클·빅' 노리는 경찰대생들
- 美 제재 피하려 고육책? 마식령 전세기 'A321 비밀'
- '성추행 은폐 의혹' 최교일, 잠적 하루만에 당사 포착
- "러시아, 자국내 北 노동자 수만명 돌려보내기로"
- 극단적 선택 할머니의 후회 "제명까지 살 걸, 아파"
- 압구정 현대 경비원들, 주민상대 8억원대 민사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