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콧물에 토해도..전세계 뒤흔드는 韓 매운 라면, 왜
'영국남자' 조쉬, 유튜브에 시식기 올리면서 글로벌 유행
삼양식품 수출 급상승의 90%가 불닭볶음면
농심, 팔도 등 국내 라면경쟁업체들도 유사 신제품 내놔
청양고추에 베트남, 멕시코 고추도 섞어 글로벌 맛 끌어내
지구촌 사이버 세상 뒤흔들고 있는 한국 매운맛 라면
20대로 보이는 외국인 남성 두 명과 여성 한 명이 카메라 앞에서 비빔면을 먹기 시작한다. “나는 매운 것이 싫어”라는 말과 함께 시식을 시작한 한 남성은 억지로 한 그릇을 다 먹고 난 뒤 “머리가 아프다. 목구멍에 불이 타오른다”고 호소하며 냉장고로 뛰어가 우유를 들이켠다. 매운 것에 자신이 있다고 다른 한 남성은 자신 있게 한 그릇을 비운 것까진 좋았으나, 매운 기운을 참지 못해 기침하다 콧구멍으로 라면 가락이 들어가면서 고통스러워한다. 매운맛에 익숙한 듯한 여성은 두 남자의 고통스러운 모습을 보며 웃음을 터뜨린다.
지난해 12월 유튜브에 올라온 ‘2X NUCLEAR SPICY KOREAN FIRE NOODLE CHALLENGE’(엄청나게 매운 한국 불 라면 도전)라는 제목의 동영상이다. 한 달이 갓 지난 이 영상은 현재 조회 수 70만을 넘기고 있다.
한국의 매운맛 라면이 지구촌 사이버 세상에서 인기몰이 중이다. 한국산 매운 봉지라면을 직접 사 조리법대로 시식해보는 형식의 동영상은 매운맛에 비교적 익숙한 동남아시아권은 물론 미국과 유럽 등 서양 국가들에서도 경쟁적으로 올라오고 있다. 유튜브에서 ‘fire noodle’이라는 검색어를 치면 121만 개가 넘는 동영상이 검색된다. 이 중 대부분이 한국의 매운맛 라면 도전기들이다.
한국 매운맛라면 도전기 열풍의 진앙은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다. 2012년 4월 출시된 불닭볶음면은 한국 소비자들에게 기존에 없는 매운맛을 보여주겠다는 취지의 틈새상품 기획이었다. 출시 초기 월 5억원 정도의 미미한 매출이었으나, 중독성 강한 매운맛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이듬해부터 매출이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했다.
특히 2014년 2월 ‘영국남자’로 잘 알려진 유튜브 인기인 조쉬가 지인들과 함께 불닭볶음면을 먹고 매워하는 장면을 담은 유튜브 동영상이 700만에 가까운 조회 수를 올리면서 불닭볶음면의 인지도가 세계적으로 높아졌다. 영국남자 동영상처럼 불닭볶음면에 도전하는 ‘미투(me too) 영상’도 유행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매운맛라면은 김정수 삼양식품 사장의 아이디어였다. 김 사장은“우연히 명동의 매운 불닭 음식점 앞을 걷다가 사람들이 붐비는 것을 보고 강렬한 매운 맛도 라면에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후 매운맛·닭·볶음면을 모티브로 마케팅 부서, 연구소 직원들과 함께 전국의 유명한 불닭, 불곱창, 닭발 맛집들을 탐방·시식했다. 또 세계 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매운 고추도 연구했다. 이렇게 1년 이상 걸린 연구개발(R&D)에는 매운 소스 2t, 닭 1200마리가 투입됐다.
이옥한 강원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 속에는 단맛 등 다양한 맛이 숨어있다”며 “여러 나라의 고추를 배합해 중독성 있는 글로벌한 맛을 찾아낸 데다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한류 붐 덕에 외국인들이 K푸드의 하나로 매운맛 라면에 열광하는 것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래도 재건축? 8억4000만원 부담금 폭탄 예고
- '현송월 일행' 강릉 도착, 역 앞 시민들 박수 치며..
- '철옹성' 같았던 文 호위무사의 댓글전쟁, 최근엔..
- "中에 韓 눈 뜨고 당하고 대만·일본은 당당히 맞서"
- "블록체인 충격.. 은행원·공무원 10년 못 갈 것"
- '혁신기업 5위' 삼성전자, 존경받는 기업 순위선..
- '달빛기사단' 40대 여성 "댓글, 50대가 30% 넘으면.."
- "제 혈관이 70대라는데" 발기부전 울리는 선무당
- 삼성 반도체 부문 부장, 석 달 만에 억대 보너스 받는다
- 역돔·점성어가 도미로 둔갑..'짝퉁 모둠회' 판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