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 꽝남대학살 위령비로 가는 길

입력 2018. 1. 19. 18: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21]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게 학살당한 민간인 기리는 위령비 지도와 순례길 소개
한국인 인기 여행지 다낭에서 시작된 ‘꽝남의 비극’… 민간인 4천 명 이상 희생

한베평화재단·<한겨레21> 공동기획_1968 꽝남! 꽝남!

① 1968 꽝남대학살 지도

② 무고한 죽음에 대한 예의

③ 살아남은 자의 물음

한베평화재단·<한겨레21>은 앞으로 세 차례에 걸쳐 ‘1968 꽝남! 꽝남!’ 기사를 연재한다. 이번호에 실리는 첫 회엔 한베평화재단과 <한겨레21>이 1차로 완성한 ‘1968 꽝남대학살 지도’와 이 지역을 둘러보고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원하는 한국인들을 위한 ‘꽝남순례길 1코스’를 소개한다. 한국군 민간인 학살로 각각 가족 19명, 9명을 잃은 유가족들의 이야기도 전한다. 최근 인기 여행지로 급부상한 다낭, 그 바로 밑에 올해 대학살 50주기를 맞는 꽝남이 있다. _편집자

지난해 12월28일 베트남 호이안시 공동묘지 안 ‘껌안 학살’ 희생자 집단묘지. 한국군은 1968년 1월30일 호이안시 껌안구 안떤동 모래언덕에 마을 주민 11명을 세워놓고 총을 난사해 학살했다.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마다 한국 관광객 수십만 명이 찾는 베트남 중부 도시 다낭. ‘꽝남의 비극’은 다낭에서 시작됐다. 미군은 1967년 다낭의 외곽 방어를 한국군에 요청했다. 베트남전쟁 중 다낭은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공군기지, 미 해병 제3상륙군 사령부, 남베트남 제1군단 사령부가 밀집한 전략 요충지였다. 한국군이 다낭 남쪽으로 약 20km 거리에 있는 꽝남성 호이안 지역을 맡아주면, 미군과 남베트남은 다낭을 방어하면서 베트남의 ‘동맥’인 ‘1번 도로’를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남베트남 정부 통제 지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한국군 처지에선 보급·항공을 지원해주는 미 해병과의 거리를 좁히는 이점이 있었다. 다만, 당시 한국군은 이 지역을 ‘베트콩(VC·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우세 지역’으로 판단했다(국방부 <파월한국군 전사> 제3권 890~891쪽 참조).

한국군 청룡부대(제2해병여단)는 1967년 12월22일 꽝남성 호이안 지역으로 이동했다. 한국군 파병 전투부대로는 처음 베트남에 상륙해(1965년 10월9일) 중부 깜라인·투이호아·추라이 지역을 거쳐 호이안 지역에 자리잡은 것이다. 미 해병 제1사단 제5연대가 그 지역을 인계했다. 주둔 직후, 1968년 1월부터 청룡부대는 꽝남성에서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음력 1월30일, 남베트남 전역에서 퍼부은 북베트남군·베트콩의 ‘뗏공세’(구정대공세) 이후 학살은 잦아졌다. 호이안시 인근에서만 한 달 새 껌안 학살(1월30일·11명 사망), 퐁니·퐁넛 학살(2월12일·74명 사망), 하미 학살(2월22일·135명 사망), 하꽝 학살(2월29일·36명 사망)이 벌어졌다.

한베평화재단과 <한겨레21>은 지난해 12월26일부터 1월2일까지 베트남 중부 꽝남성의 약 20개 마을(동·리 단위)에 있는, 한국군이 학살한 민간인 추모 위령비, 위령관, 묘지, 학살 현장을 찾아갔다. 한베평화재단이 입수한 베트남 인민군대 정치총국 직속 연구소 보고서(‘남베트남에서 남조선 군대의 죄악’, 1980년대 중·후반 작성) 등의 자료와 위령비 비문, 현지 주민 증언을 종합해 학살 과정과 규모를 취재했다. 대조검토(크로스체크) 과정을 걸쳐 확인된 학살 규모만 최소 646명이었다. 학살은 1968년에 집중적으로 벌어졌고 최소 1971년까지 이어졌다.

이번 취재로 확인한 학살은 전체 덩어리의 한 조각에 지나지 않는다. 한베평화재단은 베트남전 한국군 전투부대(청룡·맹호·백마부대)가 주둔한 5개 성(꽝남성, 꽝응아이성, 빈딘성, 카인호아성, 푸옌성)에서 한국군이 학살한 민간인 수를 9천 명 이상으로 보고 있다. 베트남 정부, 공공기관, 인민위원회, 군에서 작성한 자료 등 수십 건을 종합한 결과다. 1999년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문제를 처음 알린 구수정 <한겨레21> 전 호찌민 통신원(현 한베평화재단 상임이사)에 따르면, 1968년부터 꽝남성에서만 민간인 4천 명 이상이 한국군에게 학살당했다.

특정 시기, 특정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벌어진 학살엔 이름이 붙는다. 난징대학살, 간토대학살, 밀라이학살…. 1968년부터 꽝남성에서 집중적으로 벌어진 한국군 민간인 학살은 이번 연재에서 그 이름을 붙였다. ‘1968 꽝남대학살’. 한베평화재단과 <한겨레21>은 ‘1968 꽝남대학살’의 흔적을 찾아 떠났다.

12월26일 인천공항에서 5시간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 도착한 곳은 베트남 중부 다낭 공항이다. 다낭에서 남쪽으로 차로 40분, 호이안시 중심가로 들어갔다. 호이안시는 꽝남성(도 단위) 동북부에 있다. 학살의 흔적을 찾아 방문한 디엔반시, 주이쑤옌현(군 단위), 탕빈현 소재 마을(동·리 단위)들은 청룡부대가 주둔한 호이안시를 중심으로 사방에 흩어져 있었다.

우연히 만난 학살 유가족

베트남엔 지천이 무덤이었다. 차창 밖으로 눈을 돌리면 무덤들이 자주 눈에 띄었다. 1960~75년 베트남전쟁의 흔적이다. 12월26일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희생자를 추모하는 하꽝 위령비로 가는 길, 양쪽으로 듬성듬성 모가 심긴 넓은 논 사이로 좁은 포장도로가 길게 뻗어 있었다. 누런 소 떼가 풀을 뜯다가 길을 막고는 느릿느릿 길을 비켰다. 좁은 길 양옆으로 오토바이들이 아슬아슬하게 쌩쌩 달렸다. 하꽝 위령비엔 ‘딘씨 사당에서 남조선 병사들에게 학살당한 동포들을 기리는 위령비’라는 비문이 흐릿하게 남아 있었다. 받침대를 덮은 대리석 두 장은 깨져 내려앉았다. 한국인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참배를 하자, 현지 주민 서너 명이 주위로 몰려들어 말을 걸었다. “봤지? 여기 위령비가 무너졌잖아. 불쌍한 사람들이잖아.”

현지에서 길을 묻다 만난 주민들과 종종 같이 참배했다. 12월30일 주이쑤옌현 주이찐사 동옌촌의 티에우 할머니 방공호 집단묘지(1968년 10월5일 14명 학살) 앞에서 우연히 만난 당히엔(81)이 그랬다. 알고 보니 그는 이 학살로 고모를 잃은 유가족이었다. 유가족 아닌 주민들도 같이 참배했다. 12월28일 주이쑤옌현 주이응이어사 선비엔촌에서 만난 보낌훙(35)은 인근 의류제조업체 직원이었다. 그가 1969년 8월25일 한 할머니 방공호에서 한국군이 28명을 학살한 현장을 안내했다. 그는 유가족이 아니었지만 그곳을 정기적으로 찾아 참배했다. “우리 회사 직원들도 매달 음력 1일과 구정 때 여기 와서 향을 피우고 참배해요.”

베트남에서 만난 사람들은 한국군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위령비를 각별히 여겼다. 12월27일 주이쑤옌현 주이탄사 반꾸엇촌에서 만난, 학살 생존자이자 유가족인 쯔엉반까(60)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위령비를 통해,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을 추모하고, 미래 세대는 다시 이런 일을 겪지 않도록 그 사건을 기억하며, 아이들과 후손에게는 네 조상이 한국군에게 학살당했다는 사실을 알린다.” 한국군은 1968년 1월19일 반꾸엇촌에 있는 쯔엉반까의 할아버지 암자에서 그의 가족 6명(할아버지, 외할아버지, 작은아버지, 5촌 아저씨, 숙모, 사촌여동생)을 학살했다. 당시 10살이던 쯔엉반까도 암자에 함께 숨어 있다가 한국군이 던진 수류탄 파편에 손가락 네 개를 잃고 정강이를 다쳤다.

“마을 어르신들은 ‘따이한’(대한(大韓)·한국군을 지칭)이라고 하면 지금도 몸서리를 친다.” 1월1일 탕빈현 빈즈엉사 1촌에서 만난 주민이 말했다. 베트남에서 만난 여러 주민들과 유가족·생존자들은 한국군이 여성, 아이, 노인을 가리지 않고 학살했다고 증언했다. 12월30일 디엔반시 디엔즈엉구 하미쭝동에서 답사한 하미 위령비 앞면엔 희생자 명단이 쓰여 있었다. 명단에는 희생자들의 이름과 태어난 해가 적혀 있다. 전체 135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71명이 당시 18살(1950년생) 이하였다. 태어난 지 두 달이 채 안 된 아이(1968년생)도 3명 있었다. 60살(1908년생) 이상은 14명이었다. 중간 이름이 ‘티’(여성 이름)인 희생자는 98명이다. 여성 희생자가 135명 중 최소한 98명 이상이란 뜻이다.

미완으로 남은 대학살 지도

베트남인들은 학살 50주기가 지난 현재까지도 위령비를 짓고 있다(표지이야기 “그 기억은요, 조금도 사그라들지 않아요” 참조). 꽝남성 곳곳에 있는 위령비들은 한국군이 베트남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의 전체 모습을 설명하기엔 여전히 불충분한 증거다. 위령비에는 건립 시점(보통 1990년대 이후)에 신원이 명확히 확인된 희생자 이름만 기록돼 있다. 가족이 끝내 나타나지 않았거나 오래돼 주검을 식별할 수 없었거나, 목격자·생존자가 없는 죽음들은 그대로 묻혔을 것이다. ‘1968 꽝남대학살 지도’가 끝내 미완의 지도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꽝남(베트남)=글 김선식 기자 kss@hani.co.kr 사진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