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도 안 따지는 불청객..'겨울 황사' 기승 이유는?

이수정 2018. 1. 19. 08: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겹치면서 어제(18일)는 그야말로 최악의 대기질이었습니다. 원래 봄에나 발생하는 황사가 최근에는 가을, 겨울 안 가리고 찾아오고 있습니다.

그 원인을 이수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하늘이 뿌옇습니다.

고농도 미세먼지에 중국발 황사까지 유입됐기 때문입니다.

지난 15일 내몽골 고원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 황사가 발생했고 이 황사가 속도가 느린 북서풍을 타고 서해안 쪽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황사 영향으로 전북과 전남에는 올들어 첫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황사는 주로 3월에서 5월사이에 발생합니다.

내몽골 등 발원지 인근이 충분히 건조하고 기온이 높아 땅이 얼지 않는 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가을과 겨울에도 황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 한 차례도 관측되지 않았던 가을 겨울 황사는 90년대에 9건, 2000년대에는 22건으로 늘었습니다.

이렇게 겨울 황사가 나타나는 건 봄 처럼 발원지 인근이 강수가 적어 건조해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발원지가 덜 얼어붙어 바람에 날리는 흙의 양이 많아진 것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에는 서울에서만 3차례나 황사가 나타났습니다.

1915년 서울에서 황사를 관측한 이래 11월에 황사가 3번이나 관측된 것은 2010년 11월 이후 처음이었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석훈·조영익)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