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동중국해 침몰유조선 기름유출 지점 탐색용 해저로봇 투입

2018. 1. 18. 09: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당국이 동중국해 해상에서 침몰한 이란 유조선 상치(Sanchi)호의 기름유출을 막기 위해 해저 로봇을 투입했다.

18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교통운수부는 현재 상치호에 실린 기름유출에 따른 해양오염을 막기 위한 긴급대책에 나섰다며 탐색을 통해 선박 침몰 위치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세월호 인양작업을 맡았던 상하이 샐비지(上海打撈局)도 해저에 로봇을 투입해 침몰 유조선에서 탐측 및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침몰 유조선에서 흘러나온 기름층[로이터=연합뉴스]

(상하이=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 당국이 동중국해 해상에서 침몰한 이란 유조선 상치(Sanchi)호의 기름유출을 막기 위해 해저 로봇을 투입했다.

18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교통운수부는 현재 상치호에 실린 기름유출에 따른 해양오염을 막기 위한 긴급대책에 나섰다며 탐색을 통해 선박 침몰 위치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현재 유조선은 우현 부위가 파손된채 수심 115m 바닥에 별다른 장애물 없이 가라앉은 상태다.

중국의 해양순찰함 '하이쉰(海巡) 166'가 현장에 도착해 침몰 선박의 기름 유출부위를 확인하고 이를 차단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특히 세월호 인양작업을 맡았던 상하이 샐비지(上海打撈局)도 해저에 로봇을 투입해 침몰 유조선에서 탐측 및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투입된 로봇의 종류나 양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궁융쥔(弓永軍) 다롄(大連)해사대학 교수는 "이번 해저작업에 투입될 수 있는 다양한 로봇 장비들이 있다"며 "로봇과 잠수사들의 핵심 과제는 기름이 유출되는 구멍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상하이 해상수색구조센터는 13척의 선박을 파견해 현장에서 해상 오염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하이쉰 169함, 둥레이(東雷)6함 등은 기름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현재 선박에서 유출된 기름은 침몰 위치에서 동북 방향으로 얇은 막의 거대한 띠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해안경비대는 상치호에서 유출된 기름이 사고 발생 지점에서 길이 13㎞, 너비 11㎞에 이르는 해역까지 퍼졌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름유출 확산으로 환경재해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일본 환경부는 유출된 기름이 해안에 닿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상치호에 실린 콘덴세이트유의 휘발성이 강한데다 비교적 먼바다에서 사고가 일어나 피해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jooho@yna.co.kr

☞ 광주 도심서 차량 추격전…실탄 쐈지만 경찰도 치여
☞ 허위실종신고 전 내연녀가 방에 아이 머리카락 뿌려
☞ 피임약 먹고 100㎞ 행군?…신입사원 연수 문제 없나
☞ 30대 여성 모텔 추락사…같이 투숙한 남성 입건
☞ 미 포르노배우 "2006년 트럼프와 성관계" 주장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