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검찰, MB정부 민간인 불법사찰도 재수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명박(MB) 정부 청와대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불법수수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MB 정부 당시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도 사실상 재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이 MB 정부 당시 두 차례에 걸친 수사에서도 밝혀지지 않은 불법사찰의 최종 '윗선'으로 당시 청와대와 MB를 겨냥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종석 前 청와대 행정관 소환
이영호 전 비서관도 조사 예정
이명박(MB) 정부 청와대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불법수수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MB 정부 당시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도 사실상 재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이 MB 정부 당시 두 차례에 걸친 수사에서도 밝혀지지 않은 불법사찰의 최종 ‘윗선’으로 당시 청와대와 MB를 겨냥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7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송경호)는 이날 최종석(48)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을 비공개 소환 조사했다. 경북 포항 출신의 최 전 행정관은 행정고시 출신으로, 2008~2011년 청와대에서 근무하며 국무총리실 진경락(51) 전 기획총괄과장과 장진수(45) 전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 등에게 민간인 불법사찰 관련 증거를 인멸하도록 지시한 혐의(증거인멸 등 교사)로 기소돼 2013년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
검찰이 최 전 행정관을 불러 조사하는 배경에는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의 몸통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관련 검찰의 1차 수사(2010~2011년)에서 검찰은 현직 청와대 행정관 소환에 부담을 느껴 증거인멸 배후로 떠오른 최 전 행정관을 검찰 청사 외부에서 조사하고 증거 불충분으로 면죄부를 줬다.
하지만 그는 장 전 주무관의 폭로로 다시 시작된 2012년 2차 수사에선 증거인멸 당일 장 전 주무관에게 차명휴대폰을 지급하고 상황을 보고하도록 하는 등 조직적으로 범행에 개입한 혐의가 드러나 처벌 받았다. 따라서 검찰이 이미 형사처벌을 받은 최 전 행정관을 재차 부른 건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의 몸통을 자처한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 대신 당시 청와대 윗선과 나아가 MB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당시에도 이 전 대통령은 불법사찰을 지시했거나 보고를 받았다는 의심을 받았지만 현직이라서 검찰 조사를 받지 않았다.
검찰은 조만간 이영호 전 비서관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안아람 기자 oneshot@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